한·미 양국이 29일 서울에서 올 들어 처음으로 외교차관급이 참여한 고위급 협의를 갖고 한반도 정책을 조율했다.
조태용 외교부 1차관과 웬디 셔먼 미국 국무부 정무담당 차관은 한·미 동맹이 강력하며 북한 문제에 대해 양국 간에는 빈틈이 없다고 강조했다. ‘빈틈이 없다’는 최근 미국 관리들이 가장 자주 쓰는 말이다.
남북관계 개선을 추구하는 우리와 달리 소니 해킹 사태 이후 미국에서는 대북 제재·압박 분위기가 강해지면서 한·미간 대북 정책에 엇박자가 있는 것이 아니냐는 일각의 지적을 의식한 발언으로 해석된다.
실제 셔먼 차관은 한·미 차관급 협의 직후 외교부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양측은 북한과의 대화를 위한 박근혜 대통령의 이니셔티브를 지지하기 위해 함께 일하고 있다”면서 우리의 대북정책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공개적으로 밝히기도 했다. 그는 ‘한국이 통일되고 분단이 끝나길 기대한다’며 우리 정부의 입장에 힘을 실어주기도 했다.
그러나 구체적인 대북정책 방향에 대해선 “북한 문제에 관한 한 비핵화가 최우선 과제”라고 말해 시각차를 드러냈다.
이는 “남북대화는 비핵화를 위한 우리의 노력을 지지하길 희망한다”고 한 성 김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최근 발언과 같은 의미다. 우리 정부 역시 일정 수준 이상의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서는 북한 비핵화 문제에 진전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미국 최대 애용구-“서울과 워싱턴 사이엔 빈틈이 없다”-빈틈이 있나 보네
입력 2015-01-29 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