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자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의 짝퉁 유통 행위를 공개적으로 지적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국무원 국가공상행정관리총국(공상총국)이 28일(현지시간) 알리바바의 위조상품 유통, 뇌물 수수 등 불법행위를 적시한 백서를 발간했다고 보도했다.
공상총국은 백서에서 “알리바바가 오픈마켓에서 가짜 담배와 술, 가짜 명품 핸드백은 물론 무기 등 각종 금지 물품을 파는 행위를 눈감아주고 있다”면서 “알리바바 직원들은 검색어 순위를 올려주거나 광고 자리를 내주겠다는 명목으로 상품 판매자들로부터 뇌물을 챙겼다”고 지적했다. 판매업자의 허위·과장 광고와 판매량을 부풀리기 위한 허위 거래를 단속하지 않는다고도 비판하면서 “각종 불법행위는 알리바바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는 최대 위험요소가 됐다”고 강조했다. 백서의 내용은 지난 7월 알리바바 관계자와의 대화를 바탕으로 작성됐다.
중국 정부가 백서를 내고 자국 기업의 불법행위를 지적한 것은 이례적이라는 관측이다. 조 시몬 변호사는 “중국 정부의 공개비판은 전례 없는 일”이라며 “알리바바가 할 일을 다 하지 않았다고 정부가 결론 내렸다는 점에 이론의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알리바바는 정부의 공개적인 지적을 일부 수용하면서도 정부의 조사결과에 불만을 표했다. 알리바바의 전자상거래 사이트 타오바오(淘寶)는 성명을 내고 “공상총국의 류훙량(劉紅亮) 시장규범관리사 사장(司長·국장)이 잘못된 방식으로 조사를 진행해 편파적인 결론을 냈다”고 주장했다.
공상총국은 지난 23일 타오바오의 정품판매율이 37%에 불과하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를 두고 타오바오 직원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웨이보(微博)에서 류 사장을 공개 비판하기도 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중국 정부, 알리바바 ‘짝퉁’ 이례적 공개 비판… 유통 과정 뇌물수수
입력 2015-01-29 1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