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요미우리신문, ‘군 위안부 강제연행’ 표현 삭제한 출판사 옹호

입력 2015-01-29 15:09
일본의 유력 일간지 요미우리신문이 일본군 위안부에 관해 ‘강제연행’이라는 표현을 삭제한 교과서 출판사의 조치를 옹호하고 나섰다.

일본 신문 중 발행 부수가 가장 많은 요미우리신문은 29일 사설을 통해 스켄출판이 올해 4월부터 사용될 사회 교과서에서 ‘종군(從軍)위안부(일본군 위안부의 일본 내 표기)’, ‘강제연행’ 등 단어를 삭제한 것이 “타당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이 신문은 위안부 문제의 본질이 ‘일본군에 의한 강제 연행의 유무’이며, 그간 일본 정부가 시행한 조사에서 군이 강제연행을 했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자료가 확인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또 ‘종군위안부’라는 용어가 군무원인 것 같은 인식을 줄 수 있어 이를 교과서에 쓰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이 신문은 군 위안부 중에 ‘조선인이 많았다’는 기술에 대해서도 “한반도 출신이 압도적으로 많았다는 가설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고 일본인 위안부가 더 많았다는 설도 있다”고 주장하며 각 교과서 출판사가 내용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일본 중학교 교과서 검정이 올해 3월 말∼4월 초에 예정된 상황에서 발행부수가 가장 많은 신문이 앞장서서 이런 견해를 밝히면서 여론이나 검정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일본 정부가 자국의 공식 견해로 인정한 고노(河野) 담화는 일본군 위안부의 출신지에 관해 ‘일본을 별도로 하면 한반도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고 서술하고 있다.

아울러 국제 인권 단체 등이 위안부 문제의 본질은 여성의 인권을 짓밟은 전시 성폭력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강제연행 여부가 본질”이라고 주장한 것은 국제 상식에 비춰 봐도 어긋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미 지난해 일본의 대표적인 역사연구 단체인 역사학연구회는 일본군에 의한 위안부 강제연행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라는 성명을 발표했으며 강제연행 사실을 인정한 BC급 전범 재판도 있다. 군대를 따라간다는 의미의 ‘종군’이 피해자가 자발적으로 위안부가 됐다는 인식을 심을 우려가 있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이제 ‘종군 위안부’라는 용어를 거의 쓰지 않고 ‘일본군 위안부’ 또는 ‘군 위안부’라는 표현을 주로 쓴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