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미국 컬럼비아대학에 일본의 대내외 정책을 연구하는 교수 채용을 위한 예산 500만 달러(약 54억원)를 지원하기로 했다.
일본이 올해 제2차 세계대전 종전 70주년을 맞아 40여년만에 미국 대학에 자금 지원을 재개한 배경에는 이웃 한국과 중국과의 학계 정보전에서 밀릴 수 없다는 정책적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27일 분석했다.
일본 고베(神戶)대학의 기무라 칸 정치학 교수는 신문과 인터뷰에서 "일본이 현재 한국·중국과의 정보전에서 밀리고 있고, 반드시 따라잡아야 한다는 위기감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일본 당국자들도 경쟁국의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기관 투자를 결정한 측면이 있다고 인정했다.
중국은 최근 미국내 교육기관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현지 97개 대학에 중국어와 중국 문화를 가르치는 '공자학원'을 두고 있다.
한국도 아이오와·하와이대학 등에 한국어 교육기관인 '세종학당'을 설립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은 이에 맞서 '전략적 대외관계' 예산을 작년의 3배인 4억2천300만 달러(약 4천582억 원)로 증액하고, 친일파 연구진과 전문가 양성을 위한 예산 6천500만 달러(약 704억 원)를 따로 배정했다.
아베 일본 총리의 부친 아베 신타로(安倍晋太郞) 전 외무상의 이름을 따 1991년 설립된 아베 펠로십도 매년 10여 명의 정치·사회학자들을 지원하고 있다.
이 같은 '소프트파워' 공세는 아베 정권의 외교·안보 이념인 적극적 평화주의에 따른 행보라는 분석도 나온다. 아베 총리는 앞서 중동지역 안정화에도 25억 달러(약 2조8천억원) 규모의 지원을 약속했다.
그러나 과거사를 반성하지 않아 이웃 국가들의 심기를 불편하게 하는 일본이 막강한 자금력을 앞세워 학문의 자유를 침해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보스턴대학 국제학 연구기관인 파디스쿨 소속이자 아베 펠로십 장학생이기도 한 토머스 버거 부교수조차 "일본 근현대사에 대한 외부의 시선을 바꾸려는 아베의 노력은 무용할 뿐 아니라 역효과를 낼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은 작년 말 미국 출판사에 공립 고등학교 교과서에 실린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관련 내용을 수정해달라고 요구했다가 퇴짜를 맞기도 했다.
이종선 기자
일본 정부, 40년만에 美 대학 자금지원 재개
입력 2015-01-27 1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