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올해 패전일에 즈음해 발표할 담화내용을 예의주시하면서 침략의 과거사를 반성하는 내용을 담아야 한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관련 질문이 나오자 “세계 반(反)파시스트 전쟁 및 중국인의 항일전쟁 승리 70주년인 올해는 역사를 총정리하고 미래의 발전 계획을 세우는 매우 중요한 해”라면서 “우리는 일본 정부와 지도자가 과거의 침략 역사에 대해 어떤 태도로, 어떤 메시지를 밝힐 것인지 매우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이 침략의 역사를 미화해 부채를 계속 짊어지고 갈 것인지 진정으로 침략의 죄행을 깊이 반성해 걸음을 가볍게 할 것인지를 주시하고 있다”면서 과거사 반성이 국제사회가 모두 간절히 바라는 것이란 점을 강조했다.
화 대변인은 “우리는 일본이 역사 문제에 대한 기존의 태도와 약속을 준수하기를 진정으로 희망한다"면서 실제 행동을 통해 일본이 평화와 발전의 길을 걷고, 역사발전 문제를 적절하게 처리함으로써 국제사회의 신임을 얻고, 지역과 세계평화·안정을 위해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베 총리는 최근 일본 방송에 나와 패전일(8월 15일) 무렵에 발표할 담화(아베 담화)에 무라야마(村山)담화의 핵심 단어를 그대로 쓰지 않겠다고 밝힘으로써 역사 인식을 둘러싼 한·일, 중·일 갈등이 증폭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편 화 대변인은 수니파 원리주의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가 일본인 인질 유카와 하루나씨를 살해한 것과 관련, “중국은 모든 형태의 테러리즘에 반대하며 무고한 민간인을 겨냥한 극단적인 행동에 대해서도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그는 “유엔 헌장의 정신·원칙 및 다른 국제관계의 기본 준칙에 따라 국제사회와 협력을 강화해 테러리즘의 위협에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손병호 기자 bhson@kmib.co.kr
중국, 아베 담화에 과거사 반성 포함 촉구
입력 2015-01-26 2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