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정책전환을 위한 시민협의회 반쪽 출범

입력 2015-01-26 15:55

수도권매립지 정책 전환과 개선을 위한 시민협의회 첫 회의가 26일 오후 인천시청 중회의실에서 개최됐으나 야권과 일부 시민단체의 불참으로 27명 중 16명의 위원만 참석해 순탄치 않은 출발을 보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수도권매립지 시민협의회 구성 운영 방안에 대한 보고에 이어 인천발전연구원의 연구 용역 결과에 대해서도 보고됐다.

시는 이 자리에서 인천시민의 매립지에 관한 조사결과, 5개 대체 매립지에 대한 검토결과, 매립지 관련 법령상 제 문제 등을 거론했다.

시는 또 4자 협의체의 선제적 합의의 의미와 추진과제 등 그동안 비공개 미발표 자료에 대해서도 공개했다.

이와 관련, 김교흥 전 인천시 정무부시장 등 야권 인사들은 인천시청 앞에서 지구당별로 무기한 릴레이 천막농성을 돌입했다. 이들은 수도권매립지 종료선언과 대체매립지 발표 때까지 농성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강범석 인천 서구청장은 “연장이냐 종료냐 아무 얘기도 할 수 없는 상황이어서 인천시와 서구가 입장이 다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인천경실련은 “인천시로부터 참여 제안을 받았으나 내부 논의를 거쳐 참여하지 않겠다고 통보했다”며 “유정복 인천시장은 ‘수도권매립지 4자 협의체’에서 합의한 ‘선제적 조치’가 ‘2016년 매립종료’ 입장과 연계된 게 아니라고 분명하게 선언해야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향후 시민협의회가 유정복 시장이 강조한 ‘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 결과물’을 도출하는 등 수도권 매립지의 합리적 현안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