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3년차 정국위기 타개책으로 ‘이완구 국무총리’ 체제를 선택한 박근혜 대통령은 향후 국정운영의 최대 과제를 ‘당청 간 정책협의 강화’에 둘 것으로 전망된다. 금명간 개각과 청와대 개편 등 후속작업을 통해 민심을 추스르는 한편, 정치권과의 협의 및 소통 등을 통해 구체적인 정책 실행과 성과를 보여주겠다는 각오다.
청와대 관계자는 25일 “가장 핵심적인 것은 효율적인 국정 추진과 소통”이라며 “이를 위해 청와대와 정부, 당과의 정책 조율기능 강화에 포커스가 맞춰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청와대 참모진도 김기춘 비서실장 ‘원 톱’체제에서 탈피해, 각 분야 특별보좌관(특보)들이 청와대 안팎의 협의 창구로 적극 나서는 식으로 외연이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선임’수석실도 기존 국정기획수석실에서 정책조정수석실로 재편된 것도 여당과의 정책 조율·협의에 방점을 뒀다는 의미다. 여권 관계자도 “지금까지 청와대가 안에서 외부를 바라보는 시각이었다면, 이제부턴 최소한 외부의 눈과 입을 통해본 의견을 청취해 필요충분한 소통에 힘쓰겠다는 취지 같다”고 했다.
가장 주목되는 것은 26일 박 대통령이 수석비서관회의를 통해 어떤 말을 할 것이냐 하는 부분이다. 이 회의에 새로 임명한 특보단을 모두 참석시켜 집권 3년차 구상과 각오를 재천명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경제혁신 3개년 계획과 공공·노동·금융·교육 등 4대 구조개혁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해 청와대 참모진이 선두에서 앞장서 줄 것을 당부할 예정이다.
김기춘 실장은 물론 새로 임명된 현정택 정책조정수석, 우병우 민정수석, 조신 미래전략수석과 함께 이명재 민정특보, 신성호 홍보특보, 임종인 안보특보, 김성우 사회문화특보가 전부 참석한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앞으로의 국정운영을 소통·조정에 중점을 두고 해 갈 것이란 메시지가 분명히 있을 것으로 안다”고 했다. 청와대는 앞으로 대통령 주재 수석비서관회의에 매번 특보단을 참석하도록 할 계획이다.
박 대통령은 이 총리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통과하면 ‘책임총리제’의 명실상부한 구현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와 내각이 박근혜정부 전체 임기의 분수령인 올해 많은 국정과제를 실행하기 위해선 책임감을 갖고 뚝심 있게 정책을 밀고 나가야 한다는 취지다. 박 대통령은 곧 이뤄질 일부 장관 교체도 이런 취지를 적극 반영할 방침으로 보인다. 개각 대상으론 해양수산부 외에 국토교통부, 통일부 등이 추가로 거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이슈분석]김기춘 원톱체제 탈피...소통 채널 다각화
입력 2015-01-25 1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