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청, 창업기업 생존율 제고 및 판로 확대 집중 지원

입력 2015-01-25 13:11
정부가 창업 3~7년차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생존율을 끌어올리는 등 창업 환경을 개선한다. 또 중국 내륙지역 중심으로 수출인큐베이터를 확대하고 현지 중소기업 지원센터도 확충한다.

중소기업청은 지난 15일 청와대에 보고한 연두 업무보고 내용을 보강한 ‘2015년 중기청 업무계획’을 25일 발표했다.

중기청은 우선 창업기업이 기술 개발 후 사업화 하는 과정(3~4년차)에 자금 조달 등의 어려움에 직면하는 상황을 해결해주기로 했다. 창업도약기에 대한 정책지원을 대폭 강화해 창업 5년차 기업 생존율을 2013년 30%에서 2017년까지 40%로 높일 예정이다.

이를 위해 창업 7년 이내 기업에 대한 연구개발(R&D) 투자를 지난해 1400억원에서 올해는 1600억원으로 확대한다. 창업도약 패키지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모두 1조400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도 저리(약 3% 내외)로 공급한다.

국내외 판로 확대 방안도 마련한다. ‘창조제품 통합 유통플랫폼’을 구축해 창조혁신제품의 시장진입 마중물을 역할을 하도록 할 계획이다. 방송·인터넷·모바일·오프라인이 유기적으로 연계된 ‘통합 유통 플랫폼’을 올해 6월 개통하고, 벤처·창업 제품 등을 주로 취급하는 공영 TV 홈쇼핑도 설립한다. 국내외 유통 채널이 창조혁신제품을 언제든 발굴할 수 있는 ‘창조혁신제품 발굴·연계시스템’도 구축한다.

중국 내륙지역 중심으로 수출인큐베이터를 확대하고, 현지 중소기업 지원센터도 늘린다. 2017년까지 10개의 수출 인큐베이터를 설치할 방침이다. 선양과 충칭에 중소기업 매장을 신설하고 중국 현지 유통망과 협력 네트워크도 구축할 생각이다. 중국 진출 투자 경험을 보유한 국내 벤처캐피탈과 모태펀드가 5000억원 규모의 중국 진출 지원 펀드도 조성한다.

이밖에 소상공인 집적화 및 지원체계 확충, 전통시장 특성화 지원 방안도 강화하기로 했다.

한정화 중기청장은 “중소·중견기업 정책방향을 창조경제의 정착 및 본격적인 성과를 창출하는 데 주력했다”며 “가급적 상반기 내에 필요한 법령개정을 조속히 마무리하고 기재부, 금융위 등 관계부처와의 협업체계를 더욱 탄탄하게 다져나가겠다”고 밝혔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