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중앙은행(ECB) 통화정책이사회 소집을 하루 앞둔 21일(현지시간) ECB가 채택하는 양적완화(QE) 규모가 그간의 예상보다 큰 1조 1천억 유로(약 1천380조 원)에 달할 것이란 관측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블룸버그와 로이터는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해 마리오 드라기 총재 주도로 지난 20일 열린 ECB 6인 집행이사회에서 내년 말까지 1조 1천억 유로를 더 풀기로 의견을 모아 22일 소집되는 25인 통화정책이사회에 제출했다고 보도했다.
한 소식통은 오는 3월부터 매월 500억 유로를 푸는 것이 목표라면서, 그러나 여기에 그간 실행해온 채권 매입도 포함할 지와 국채를 어느 규모로 사들일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드라기는 22일 오후 2시30분(한국시간 22일 오후 10시30분) 통화정책이사회가 끝나고 프랑크푸르트에서 기자회견을 한다.
미즈호 인터내셔널의 런던 소재 리카르도 바르비에리 에르밋 수석 유럽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에 "ECB가 그간 시사해온 것보다 QE 규모가 큰 것으로 보인다"면서 그러나 "핵심은 (본격적인 QE 실행에 따른) 위험을 어떻게 처리하느냐"라고 강조했다.
독일 시사 주간 슈피겔은 드라기가 앞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를 만나 ECB가 아닌 유로 19개국 중앙은행이 해당국의 국채만 사들여 위험 부담을 분산시키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이 QE 효과를 떨어뜨린다는 반론이 잇따라 제기됐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위험 부담을 공유할수록, 효과도 커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22일 자에서 마이클 누난 아일랜드 재무장관과 익명의 이탈리아 재무부 관리도 유사한 견해를 밝혔다고 전했다.
QE 규모와 후유증을 둘러싼 논란도 여전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앙헬 구리아 사무총장은 21일 다보스 포럼에서 ECB가 제한 없이 채권을 사들일 수 있어야 유로 경제 회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구리아 사무총장은 "(마리오) 드라기(ECB 총재)가 할 수 있는 만큼 허용해야 한다"면서 "5천억 유로라는 말도 하지 말자"라고 강조했다.
반면, 독일 은행 로비 그룹인 BdB의 미카엘 켈머 대표는 21일 프랑크푸르트 연설에서 "거품 위험이 간과돼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ECB가 본격적인 QE를 실행함으로써 일본처럼 구조 개혁이 늦춰지는 상황도 초래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ECB의 대규모 QE 실행 효과에 대한 시장 기대도 벌써 회의적이다.
로이터가 지난 19일 단기자금시장 거래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해 6천억 유로의 국채를 산다고 해도 인플레를 ECB 목표치로 끌어올리기 어렵다는 전망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로 지역의 소비자 인플레는 지난달 마이너스 0.2%로, ECB 목표치 2%를 크게 밑돌았다. 유로 인플레가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5년여 만에 처음이다.
임세정 기자
“ECB 총재, 2년간 1조1천억 유로 유동성 제의”
입력 2015-01-22 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