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외환은행 조기통합 위한 노사합의 난항

입력 2015-01-22 15:59 수정 2015-01-22 16:44
하나·외환은행 조기통합을 놓고 노사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외환 노동조합 주최로 공개토론회가 열렸지만 사측은 참석하지 않아 ‘반쪽 토론회’에 그쳤다.

외환 노조는 22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하나·외환 조기통합 반대 공개토론회를 열었다. 발표를 맡은 홍익대 경제학과 전성인 교수는 통합논의 자체가 합의서 위반이며 대형화는 은행 수익성과 체계적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전 교수는 “하나금융의 새로운 경영진이 수익성을 무시한 채 무리한 외형 확대만 고집했다”고 지적했다.

외환은행과 하나은행이 모뉴엘과 KT ENS에 연루된 점을 들어 조기 합병이 불가능하다는 논리도 폈다. 그는 “당시 외환은행 기업사업그룹장이 현 김한조 행장이었다”며 “외환은행과 하나은행 모두 부실대출과 관련해 감독당국의 검사 대상이고, 향후 관련 임직원 제재가 불가피해 합병에 대한 법률적 장애물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환은행 측은 김 행장은 당시 재임하지 않아 모뉴엘과 관련해 책임이 없다고 반박했다. 외환은행은 “김 행장의 기업사업그룹장 재임기간은 2012년 2월 27일부터 12월 31일인데, 모뉴엘 수출채권 매입거래는 2010년 9월부터 시작됐다”고 밝혔다. 또 사업그룹장 단독 판단으로 개별기업 여신지원이 가능하지 않아 김 행장의 책임을 운운하는 노조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덧붙였다.

지난 12일 외환 노조는 사측에 본협상에 나서자며 대화 제의를 했고, 사측이 받아들임으로써 조기합병을 위한 노사합의가 이뤄지는 듯 했다. 하지만 사측이 지난 19일 금융위원회에 합병 예비인가 신청을 냄에 따라 다시 관계가 경색됐다. 같은 날 노조는 조기통합의 타당성을 점검하기 위해 노사 양측 입장을 대변하는 전문가들의 입장을 들어보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밝혔었다. 20일은 사측, 22일은 노측의 주장을 듣겠다고 했으나 사측은 “합의된 바 없이 노조가 일방적으로 일정을 잡았다”고 해명했다.

이번 공개토론회 자리에도 하나금융측 인사는 참석하지 않았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합병 예비인가 승인신청서까지 당국에 제출한 시점에 조기 통합에 대한 타당성을 논의한다는 것 자체가 적절하지 않다”고 말했다.

한편 28일 금융위 정례회의에 합병 예비인가 안건이 상정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당초 금융당국은 노사합의가 있어야 승인하겠다는 입장이었으나, 최근 신제윤 위원장이 “기다릴만큼 기다렸다”는 입장을 보이면서 승인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