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가계부채 증가에 우려를 나타냈다. 기준금리 추가 인하에 대해선 지켜보겠단 입장을 보였다.
이 총재는 22일 서울 태평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외신기자클럽 초청 간담회에서 “지난해 10월 이후 가계부채 증가세가 커져 금융안정 리스크에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완화 정책과 더불어 한은이 두 차례에 걸쳐 0.5% 포인트 기준금리를 인하하면서 가계대출이 급속히 늘고 있다.
시장에선 경기 부양을 위해 기준금리를 한차례 더 인하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공급측면 영향이라곤 하지만 소비자물가상승률이 1%대에 그치면서 디플레이션 우려도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 인하에 대해 “지난해 두 차례 내렸기 때문에 그때보다는 금융완화 정도가 확대됐다”며 “금리인하 효과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금리 인하에 신중을 기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디플레이션’이 도래하는 것 아니냐는 위기감이 감도는 가운데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3.4%로 하향 조정하고,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낮췄다. 이 총재는 “경제 상황을 비관적으로 전망한 것은 아니다”고 강조하며 분기별 성장률을 1%내외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더불어 국제유가 하락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낮췄지만 가까운 시일 내 디플레이션이 발생하긴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강조했다.
유럽중앙은행(ECB)가 양적완화 조치를 할 것으로 예상되며 시장이 들썩이고 있는 것과 관련해선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며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ECB 결정은 이미 시장에서 선반영된 부분이 있다”며 “금융당국 역시 대비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지시간으로 22일 열리는 ECB 통화정책회의에서 5000억 유로(약 626조원)에 달하는 양적완화가 결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
이주열 총재 "가계부채로 금융안정 리스크 유의해야" 금리 인하는 지켜볼 것
입력 2015-01-22 09:56 수정 2015-01-22 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