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대표, 최경환 경제부총리 '실명 비판'...이정현 최고위원과도 설전

입력 2015-01-21 16:19 수정 2015-01-21 16:38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21일 연말정산 ‘세금폭탄’ 논란과 관련해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실명을 거론하며 작심한 듯 비판했다.

김 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최 부총리가 어제 ‘과도한 세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했는데 이는 연말정산 정책 설계의 실수를 인정한 것”이라고 포문을 열었다. 이어 “결과적으로 많은 국민들의 불만을 초래한 것은 분명히 잘못된 일”이라고 각을 세웠다. 2013년 세법 개정때 ‘소득 재분배’효과를 노린다며 연말정산 제도를 바꿨지만, 오히려 세 부담 가중현상만 불러왔다는 비판이다.

김 대표의 공개 비판은 친박(친박근혜) 핵심인 이정현 최고위원과의 설전으로 곧바로 이어졌다.

김 대표의 발언 이후에도 이완구 원내대표, 주호영 정책위의장까지 제도 개선 필요성을 역설하자, 이 최고위원은 정부 정책을 적극 옹호하고 나섰다. 그는 “연말정산 제도 개편은 조세제도의 효율적·합리적 운영을 위해서, 국민을 위해서 한 것”이라며 “세목·세율을 늘리고 높이는 것이 아니라서 (야당이 주장하는 서민) 증세와는 관련이 없다”고 말했다. 또 “증세논란은 정말 잘못된 일”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그러자 김 대표가 다시 마이크를 잡고 “세율 관계는 너무나 복잡한 체계이기 때문에 일반 국민은 이 최고위원이 말하는 그런 부분에 대해 이해를 잘 못한다”고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는 다른 최고위원들을 향해 “당정회의에서 올해분부터 시정되도록 하겠다는 확정을 해 달라”고 주문했다.

비주류 중진 의원들도 정부 비판 대열에 가세했다. 심재철 의원은 “사실상 증세나 다름없는데도 ‘증세 없는 복지’란 도그마에 갇혀 있다. 세 부담이 늘었는데도 증세가 아니라고 얘기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정병국 의원은 “국민은 결국 ‘꼼수 증세’로 보고 있다”며 “근본적 접근 없이는 성난 민심을 되돌릴 수 없다”고 했다.

비공개로 전환된 회의에서도 이 최고위원은 거듭 증세가 아니라는 입장을 설파하며 설전을 이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김 대표가 박근혜정부 정책을 비판하자, 당 일각에선 “가뜩이나 삐걱대는 당청관계가 더 악화되는 것 아니냐”는 말이 흘러나왔다.

김 대표가 최 부총리에게 ‘공개 면박’수준의 비판을 가한 것은 친박 대 비박(비박근혜) 간 계파 갈등에 대한 불만누적 때문이라는 해석도 나왔다. 최 부총리는 박 대통령의 당선 2주년 기념일이던 지난해 12월 19일 김 대표를 제외한 친박 중진의원들과 함께 청와대에서 만찬을 가진 바 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