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물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선 물기본법 제정이 시급하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세계적인 추세인 통합 물관리를 우리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경기개발연구원이 지난 15일 전국 성인 10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모바일 설문조사(신뢰도 95%, 오차범위 ±3.09%) 결과, 응답자의 83.8%가 ‘우리나라 물 문제 심각해질 것’이라고 대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돗물·농업용수 등 물 공급 수준에 대해서는 67.4%가 만족한 반면 하천이나 호수의 수질에 대해서는 79.2%가 불만을 나타냈다.
물기본법 제정이 필요한 이유에 대한 조사도 진행됐다.
경발연 이기영 선임연구원은 “기후변화 대응(23.3%)·홍수, 가뭄, 지반침하, 수질오염사고 등 물로부터 안전한 사회 실현(17.6%)·4대강 사업 후속조치(15.4%)·지역 중심의 물 관리 거버넌스 체제 구축(13.0%)·물로 인한 갈등 해소(8.9%)·물산업 발전과 국제경쟁력 제고(8.5%)·규제 중첩 및 비효율성 합리화(5.4%)·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스마트 물관리(4.2%)·세계 물포럼 개최를 계기로 개최국 위상에 어울리는 관리체제 구축(2.2%)·남북 공동 수자원개발 및 이용, 공유하천 이용 및 관리 등 남북통일 시대 대응(1.6%) 순으로 응답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원은 “미래의 물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주민과 지방정부의 거버넌스 체제 구축을 위해 물기본법 제정이 필요하다”며, “특히 연정을 주장하는 경기도가 물기본법 제정을 요구하면 여야 정치인, 공무원, 전문가 등을 엮을 수 있는 구심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물 부족 대응 물기본법 제정이 시급하다”
입력 2015-01-21 1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