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세 이상 고령층의 보험 활용도가 낮고, 노후 대비에 적절한 보험 포트폴리오도 갖추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개발원은 60세 미만의 실손보험 가입률은 64.7%에 달했으나 60세 이상의 가입률은 17.0%에 불과하다고 20일 밝혔다. 60세 이상의 생명보험과 장기보험 가입률도 각각 45.7%와 24.5%로, 60세 미만 가입률(각각 65%, 62%)보다 크게 낮았다.
보험에 가입한 고령자도 노후에 필요한 상품(연금, 중대 질병 등)보다는 보험료가 싼 상해보험 위주로 보유하고 있다. 40대의 연금보험 보유 비중은 18.8%이지만 60세 이상은 10.8%에 그쳤다. 반면 상해보험의 경우에는 60세 이상의 보유 비중이 24.4%에 달해 40대(11.5%)를 압도했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면서 전체 보험금 수령자 가운데 60세 이상의 비중이 해마다 커지고 있으며, 보험에 가입한 고령층은 의료비 관련 보험 혜택을 60세 미만보다 많이 받고 있다. 전체 보험금 수령자 중 60세 이상의 비중은 생명보험의 경우 2010년 8.8%에서 2013년 11.8%로 늘었고, 장기보험도 4.5%에서 7.8%로 증가했다. 또 60세 이상의 경우 보험 가입자 10만명당 보험금 수령자는 1만1487명으로 60세 미만(1만248명)보다 12%가량 많았다. 보험금 수령자 1인당 보험금도 60세 이상은 321만원으로 60세 미만(255만원)보다 26% 많았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기존 보험 가입자는 해지를 최소화해 노후까지 보험을 보유하고, 신규 가입자는 노후에 필요한 보장을 추가하고 보장 기간도 충분히 설정하는 것이 노후 대비를 위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
60세 이상 고령자 보험활용도 낮다…실손보험 가입률 17% 그쳐
입력 2015-01-20 1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