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은 미래 준비를 위한 중점 연구분야인 무기 나노소재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 이진규 교수(52세)를 수석연구위원(전무급)으로 영입했다고 20일 밝혔다. LG화학은 이 교수의 영입으로 무기소재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교수는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에서 노벨 화학상 수상자인 리처드 슈록(Richard R. Schrock) 교수의 지도아래 무기화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MIT 학제간 융합연구그룹(Interdisciplinary Research Group)에서 포스트닥터 과정을 거쳤다.
이 후 1998년부터 서울대학교 화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다양한 무기 나노소재 합성 기술과 나노 입자 표면 개질 및 분산 기술과 관련된 연구를 해온 무기 나노소재 분야의 세계적 전문가다. 이를 입증하듯 이 교수는 지금까지 106건의 학술논문을 발표했으며, 100여건의 특허를 출원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 교수는 2013년 안식년 기간 동안 LG화학과 연을 맺고 대전에 위치한 중앙연구소(당시 CRD연구소)에서 연구원들과 기술적 이슈에 대한 토론과 협력 연구를 적극 수행한 바 있다.
당시 LG화학 기술연구원의 자율적인 연구 분위기와 R&D에 대한 기업의 전폭적인 지원 등 R&D를 중시하는 LG화학의 기업문화에 호감을 갖게 된 것이 계기가 되어 서울대 종신교수직을 떠나 기업 연구책임자의 길을 선택하게 됐다.
이 교수는 오는 2월부터 LG화학 중앙연구소에서 전무급에 해당하는 수석연구위원으로 근무하게 되며, 무기 나노소재 기반기술 연구책임자로서 신개념 전지소재와 유·무기 하이브리드 복합체 등 무기 소재 분야의 신규 과제 발굴과 더불어 다양한 기존 연구과제에 대한 자문 역할도 함께 수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LG화학은 신사업 개발의 중추 역할을 하고 있는 기존 ‘CRD’(Corporate R&D)연구소의 명칭을 ‘중앙연구소’로 변경하고 인적, 물적 자원 투입도 늘리기로 했다.
중앙연구소는 기초소재, 정보전자소재, 전지 등 LG화학의 3개 사업부문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반 기술과 신사업 발굴을 위한 미래 신기술을 개발하는 LG화학의 핵심 연구소다. 점착, 코팅, 공정 Simulation 및 분석 기술 등 핵심 기반 기술을 강화해 기존 사업의 경쟁력을 향상하고, 무기소재, 친환경/에너지 소재,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등 첨단 소재 관련 연구를 통해 미래 신사업 관련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LG화학은 중앙연구소에 대한 연구비와 연구인력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연구인력 중 40% 이상을 박사급 이상으로 구성해 미래 준비를 위한 R&D 컨트롤 타워로서의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LG화학은 대전 기술연구원을 중심으로 전체 2,900여명의 연구원이 근무하고 있으며, 중앙연구소 외에 각 사업본부와 사업부문 산하에 기초소재연구소와 정보전자소재연구소, 재료연구소 및 Battery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LG화학, 무기 나노소재 권위자 이진규 교수 영입… 연구역량 강화나서
입력 2015-01-20 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