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집 투명 운영 위해 학부모·시민사회 참여한 운영체계 수립해야”

입력 2015-01-19 17:38
인천 어린이집 폭행사건을 바라보는 시민사회와 보육교사들의 불편한 반응이 터져 나오고 있다.

공보육강화를 위한 인천보육포럼, 인천보육교사협회, 인천사회복지보건연대, 인천여성회 등은 19일 공동성명서를 통해 “오늘부터 경찰이 전국 5만3000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대해 실태조사에 나서고, 폭력을 행사한 보육교사의 구속과 이를 방치한 어린이집의 폐쇄조치는 당연하다”면서도 “보육교사는 악마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보육교사들은 자신들에게 향하는 불신으로 보육 자체가 매우 부담스럽고 죄스러운 지경에 이르렀다”면서 “아동학대 사건 이후 지자체별로 추가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나 아동학대가 줄어들기는커녕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아직도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보육교사들은 근로기준법상 하루 일하는 시간은 8시간과 1시간의 휴게시간으로 되어 있으나 점심시간의 경우 아이들 식사지도를 우선으로 하기 때문에 노동 강도가 심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식사시간이 허락되지 않아 식사도 틈틈이 급하게 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이 때문에 식사시간은 전쟁이고 보육교사의 신경은 극도로 예민해 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보육교사들은 또 아이들 낮잠시간에는 평가인증과 지도점검 준비, 일지작성 등 업무가 많아 시간에 쫓기기 때문에 아이들이 어쩌다가 밥투정을 한다든지 잠투정을 부리게 되면 차분히 달래고 친절하게 지도하기 어려워진다고 하소연했다.

보육교사들은 “아이들이 가고나면 각종 잡무와 청소, 교재준비로 하루 10시간에서 12시간의 고강도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며 “각종 의무교육이나 보수교육은 주말이나 야간에 들어야 하기 때문에 쉴 틈이 없다”고 밝혔다.

반면 급여는 10년차 보육교사가 150만원 정도를 받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 때문에 구조적으로는 사이버 교육과정이 난무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들은 “이번에 정부와 여당이 발표한 대책은 가해자에 대한 처벌중심 처방”이라며 “CCTV 설치나 시설폐쇄만이 만능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또 “부실한 보육교사 양성체계를 허용한 것은 국가”라고 전제, “아동학대 신고 포상제 등 아동안전관련 규제 법률이 무산되거나 표류 한 것은 정치권의 책임”이라고 질타했다.

이들은 “어린이집 운영에 있어서 원장 한명에게 모든 것을 맡기기보다 학부모들과 지역시민사회의 참여를 통해 공개적이고 투명한 운영체계를 수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들은 “가장 중요한 것은 교사가 행복해야 우리아이들이 행복할 수 있다는 점”이라며 “보육교사의 질을 높이기 위해 양성체계를 개혁하고 이에 합당한 급여를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보육교사들은 언론사에 보낸 E메일을 통해 “보육교사들의 열악한 처우, 어린이집 원장들의 횡포, 요즘 이슈화되는 학부형들의 갑질 횡포 등에 대해서도 다뤄져야 한다”며 “보육교사들의 이야기는 듣지도 않고 죽일 놈 만드는 식의 마녀사냥은 중단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