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충주시 종합스포츠타운 조성사업 부지에서 구석기 유물 포함층을 비롯해 초기 철기시대와 통일신라∼조선 시대 무덤, 숯가마 등이 다량 확인됐다.
매장문화재 전문 조사기관인 중원문화재연구원은 지난해 8월부터 충주 호암동 628-5 일원을 발굴 조사한 결과 돌무지나무널무덤 1기와 나무널무덤 2기 등 3기를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상·하 2단으로 굴착해 묘광(관을 넣기 위해 판 구덩이)을 만들었고 하단의 묘광에는 통나무관을 놓고 묘광 상부까지 강돌로 내부를 완전히 채웠다.
이 돌무지나무널무덤에서는 청동 세형동검 7점, 청동 잔줄무늬거울 1점, 청동 투겁창 3점, 청동 꺽창 1점, 청동 도끼 1점, 청동 새기개 4점, 청동 끌 2점 등의 청동유물 19점과 검은 간토기가 출토됐다.
조사단은 이 무덤을 만든 시기를 기원전 2∼1세기경으로 추정하면서 당시 충주를 중심으로 형성된 강력한 세력의 수장 묘로 판단하고 있다. 현재까지 돌무지나무널무덤은 주로 전남이나 충남 지역에서 확인됐다.
1971년 전남 화순군 대곡리에서는 이번에 출토된 것과 같은 세형동검, 잔줄무늬거울, 청동 새기개와 더불어 청동 방울 등이 함께 발견돼 1972년 국보 제143호로 일괄 지정된 바 있다. 따라서 이번 발굴 또한 이에 준하는 국보급 유물 발굴로 기록될 전망이다.
중원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유적이 남은 상태가 극히 양호해 무덤의 축조방식과 유물 부장 방식을 명확히 알려준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 된다”며 “청동유물은 수량과 종류에서 볼 때 단일 무덤 출토품으로는 국내 최대 수준에 속한다”고 설명했다.
충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충주 종합스포츠타운 조성 부지서 유물 다량 출토
입력 2015-01-19 1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