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반부패 개혁에 골프장 직격탄… ‘자본가의 오락’ 경계 속 폐쇄·철거 잇따라

입력 2015-01-19 14:27
중국 당국의 반부패 활동이 강화되면서 우후죽순처럼 늘어났던 중국의 골프장들이 직격탄을 맞았다. 중국청년보는 30년 역사의 자국 골프업계가 ‘장려·제한·금지’로 이어지는 정부의 뚜렷한 정책기조 변화에 따라 깊은 수렁에 빠지게 됐다고 19일 보도했다.

중국에서 골프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자본가의 오락’으로 취급돼 줄곧 금지돼왔다. 그러나 개혁·개방 이후 외국기업과 자본 유치를 위해 허용돼 1984년 중국 본토에 첫 골프장이 문을 열었고 이후 신흥 부자들과 관료들을 중심으로 골프 인구가 늘어나기 시작했다.

중국 정부는 골프장이 급증해 절대농지가 감소하자 지난 2004년 이후 하이난다오를 제외한 지역에 신규 골프장 승인을 내주지 않았지만, 오히려 골프장 수는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2004년 178개였던 전국의 골프장은 2013년에는 521개로 늘었다.

원래 골프장은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 등 중앙 부처의 승인을 얻어야 건설할 수 있지만 2004년 이후 지어진 골프장들은 지방정부로부터 체육공원, 생태원, 휴양원 등으로 편법 허가를 받아 영업을 해왔다. 단속에 나서야 할 지방정부들은 골프장이 들어서면 관내가 개발되고 세수가 느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골프장들의 불법영업을 용인했다.

중국의 최고 지도부가 반부패를 강조하면서 지난해 발개위 등 11개 부처는 공동으로 불법·무허가 골프장에 대한 대대적인 단속에 나서 일정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골프장들은 양성화하고 나머지 골프장들은 폐쇄·철거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는 이미 지난해 전국적으로 수십 개의 골프장이 문을 닫았고 이 중 일부는 시민공원 등으로 개조하는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60개 가량의 골프장이 있는 수도 베이징의 경우 당국이 지난해 골프장에서 사용하는 상수도를 ‘특수용’으로 재분류해 요금을 무려 40배가량 업종 전환이나 자진 폐쇄를 염두에 둔 골프장이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관계자들은 중국 당국이 부정·부패 척결을 가속하면서 올해도 공무원들과 유착 가능성이 큰 불법·무허가 골프장에 대한 정리를 계속해 전국적으로 문을 닫는 골프장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