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의 후속조치로 ‘전문 정보관’ 제도를 신설한다. 정보 경찰관이 그동안 잦은 인사로 성과 부담에 시달려온 점도 문건 유출 사건의 원인이 됐다는 판단에서다. 이들에게 ‘장기 복무’ 길을 열어줘 전문성을 높이고 인적자원을 철저히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경찰청은 최근 경찰청 및 각 지방경찰청의 정보경찰을 대상으로 전문 정보관 지원을 받는다는 공문을 발송했다고 18일 밝혔다. 전문 정보관은 시민사회, 대학가, 관가 등 특정 분야에서 우수한 근무 평가를 받은 정보경찰이 한 분야에 오랫동안 근무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다. ‘베테랑’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청와대 문건 유출에 연루된 정보경찰 2명의 정보 분야 경력이 짧았다는 점을 의식안 대안으로 보인다.
전문 정보관은 경찰청과 16개 지방경찰청의 정보 인력 중 약 10% 수준에서 선발할 예정이다. 일선 경찰서는 대상에서 제외됐다. 경찰 관계자는 “현재 각 지방청에서 1차 추천을 받은 정보경찰 10여명을 심사 중”이라며 “조직에서 ‘이 사람 없으면 대체가 불가능하다’고 인정되는 사람을 엄격하게 심사해 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은 이르면 21일 최종 선발 명단을 발표할 예정이다. 일선 정보관들은 반신반의하는 분위기다. 지방청에 근무하는 한 정보관은 “(전문 정보관의) 필요성에 공감은 하지만 선발 과정이 얼마나 투명할 수 있을지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또 경찰은 문건 유출의 진원지가 된 서울경찰청 정보1분실은 물론 외부에 사무실을 두고 있는 정보2분실 주변에 CCTV를 설치했다. 설치 장소는 사무실 주차장과 출입구 주변, 옥상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건 유출 파동 이후 밝힌 대로 정보분실을 폐쇄하고 관련 부서를 청사 내부로 이전하기 위해 예산·공간 등이 확보될 때까지 감독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다. 정보부서 인원 감축도 예정돼 있다. 경찰 관계자는 “인력을 줄이기보다는 정예요원들을 관리하겠다는 일관된 취지”라고 설명했다. 경찰청은 청와대 문건 유출 사건 이후 정보심의관을 팀장으로 태스크포스를 꾸려 개선 방안을 논의해왔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
단독/경찰 ‘전문 정보관’ 제도 도입한다…문건유출 따른 정보파트 쇄신 일환
입력 2015-01-18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