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친박근혜) 내부에서 ‘서청원 청와대 특보단장’론(論)이 힘을 받고 있다. 단장을 포함해 여야 담당 정무특보와 민원처리 등을 맡는 언론·시민사회특보 등 총 5~6명으로 청와대 특보단을 꾸리는 게 적절하다는 윤곽도 제시되고 있다.
한 친박 의원은 18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특보단 역할과 정치적 비중을 감안하면 7선 의원이자 야당과도 대화가 되는 서 최고위원이 적임자”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2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특보단 구성 계획을 밝혔을 때 이미 서 최고위원을 염두에 두고 있던 것으로 안다”고도 했다. 지난해 12월 19일 대선승리 2주년 기념일에 있었던 박 대통령과 친박 중진들의 만찬에서 의원들은 당청 간 가교역할을 해줄 정무장관 신설을 강하게 요구했다고 한다. 박 대통령은 이를 정부조직법에 손을 안 대도 되는 특보단 형태로 수용한 것으로 전해졌다.
친박 의원들은 적어도 설 이전엔 특보단의 틀이라도 잡아야 비선실세 논란으로 뒤숭숭한 분위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박 대통령 기자회견이 여론의 역풍을 불러온 점도 부담스런 대목이다. 한 의원은 “국민들의 인적쇄신 요구를 어떤 형태로든 수용하는 모양새가 필요하다”고 했다.
정무특보로는 김성조 이성헌 현기환 전 의원 등이 거론된다. 대야 관계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한화갑 한반도평화재단 이사장이나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도 가능성이 없지 않다. 언론·시민사회특보에는 초대 방송통신위원장을 지낸 이경재 전 의원, 박 대통령의 원로자문 그룹 ‘7인회’ 멤버였던 안병훈 도서출판 ‘기파랑’ 사장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이런 가운데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이날 하루 충북과 제주를 잇달아 찾아 민심을 살폈다. 당청 관계 불화설에 불을 지핀 ‘수첩 파문’의 여진을 털어내기 위한 현장 행보라는 해석이 나온다. 김 대표는 단양에 있는 구인사를 방문해 “박 대통령이 나라의 근원을 맑게 하기 위해 큰 개혁을 하고 있는데 크고 작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도움을 요청했다. 김 대표는 19일엔 제주도청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주재한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친박의 희망사항 ‘서청원 靑 특보단장’...김무성 대표는 현장 행보
입력 2015-01-18 1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