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들이 재일 한국인에 대해 무차별 학살을 자행한 1923년 관동 대지진 당시 한국인 피해자 명부를 정부가 검증한 첫 결과물이 나왔다.
이는 국권 피탈 시기 일어난 집단 학살의 진상조사를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한 것일 뿐만 아니라 일본 정부에 진상 규명을 요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다.
국무총리 소속 대일항쟁기강제동원피해조사 및 국외강제동원희생자 등 지원위원회(이하 위원회)는 ‘일본 진재(震災)시 피살자 명부’에 대한 1년간의 1차 검증을 진행한 결과 명부에 수록된 289명 중 18명이 관동대지진 피살자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18일 밝혔다.
또 명부상 피살자들의 본적지를 방문해 조사하던 중 명부에 없는 3명의 희생사실을 추가로 밝혀내 총 21명의 관동대지진 희생자를 확인했다.
‘일본 진재시 피살자 명부’는 정부가 작성한 것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관동대지진 피살자 명부로, 작성된 지 약 61년 만에 정부기관이 첫 검증 조사를 벌인 것이다.
이승만 정부가 지난 1953년 피해신고를 모아 작성한 이 명부는 재작년 6월 주일 한국대사관 신축 중 ‘일정시피징용자명부’, ‘3·1운동피살자명부’와 함께 발견됐고, 위원회는 이에 대해 작년 1월 1일부터 검증조사를 벌여 왔다.
위원회는 명부상 희생자의 사망 시기는 관동대지진 전후 111명, 3·1운동 전후 45명, 1938년 이후 16명, 미상·기타 117명 등이라고 전했다.
명부 내용을 토대로 분류하면 관동대지진 당시 피살자 247명, 3·1 운동 당시 피살자 38명, 기타(자료 불충분 등) 4명으로 집계된다.
명부 수록 인원은 학계가 추정하는 한국인 관동대지진 피살자 수(6000명)에 크게 못 미치지만 정부가 생산한 공신력 있는 문서라는 의미가 있다.
서정학 기자 mideum@kmib.co.kr
관동대지진 한국인 희생자 명부 정부 첫 검증…집단학살 진상 규명 토대 마련
입력 2015-01-18 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