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시중은행들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3% 밑으로 내려갔다. 대출이 필요한 사람들에게는 희소식이지만 사상 최대의 증가폭을 나타내는 가계부채가 더욱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3년 후 변동금리로 전환하는 외환은행의 고정금리대출 최저금리는 지난 6일까지 연 3%를 넘었으나, 7일 2.98%로 떨어진 후 매일 하락세를 이어가 15일에는 2.85%까지 내려앉았다. 최고 금리마저 연 3.15%에 지나지 않아 많은 고객들이 연 2% 후반대 대출금리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년 후 변동금리로 전환하는 고정금리대출의 최저금리 또한 3%선이 무너져 2.98%로 떨어졌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대 후반으로 떨어진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신규 주택담보대출 평균금리는 2010년 5%에 달했으나 2012년 4.63%, 2013년 3.86%로 내려간 데 이어 지난해 11월 3.3%로 하락했다.
하나은행의 고정금리대출 금리도 지난 10일 3%선이 무너져 2.97%로 내려앉은데 이어 15일에는 2.92%까지 떨어졌다. 우리은행 고정금리대출과 변동금리대출의 최저금리도 모두 3% 밑 아래로 내려왔다. 고정금리대출 금리는 2.91%, 변동금리대출은 2.9%까지 주저앉았다. 신한은행과 국민은행의 변동금리대출 금리는 아직 3.0%지만 붕괴가 멀지 않았다.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2%대 후반까지 떨어진 것은 시장금리의 지속적인 하락 때문이다. 주택담보대출 금리의 하락은 이미 100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를 감안하면 우려할만한 일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선정수 기자 jsun@kmib.co.kr
2%대 주택담보대출 나왔는데...
입력 2015-01-18 10: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