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배당 확대

입력 2015-01-16 20:33
올해 은행권 배당이 확대될 전망이다. 수익이 회복된 데다 ‘초이노믹스’ 영향으로 은행들이 속속 배당 확대 계획을 밝히고 나섰다.

2013년 실적에 대한 4대 지주(신한·KB·하나·우리)의 배당금은 6791억원으로 2009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6710억원 수준으로 크게 후퇴했다. 5963억원 순손실을 냈던 우리금융이 아예 배당을 포기한 영향이 컸다. 신한금융과 하나금융은 주당 배당금을 각각 50원씩 줄였고, KB금융도 100원 축소했다.

올해 분위기는 다르다. 한동우 신한금융그룹 회장은 지난 15일 기자간담회에서 “배당성향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KB도 지난해 국내외 주요 기관투자자가 모인 기업설명회(IR)에서 “정부 시책과 시장의 기대에 부응하는 배당정책을 펼치려 한다”며 배당확대를 시사했다.

은행들이 배당을 늘리고 나선 것은 수익이 좋아졌기 때문이다. 2013년 전체은행권의 당기순이익은 3조9000억원이었지만, 지난해 1~9월 당기순이익은 5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이와 함께 정부가 배당확대를 강조하고 나선 영향도 크다. 그동안 여론의 눈치를 보며 배당을 맘 놓고 늘리지 못했던 은행들은 환영하는 눈치다. 한 회장은 “외국계 투자를 유인하고 중장기적 시각에서 배당을 확대하는 정부 방향이 맞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은행들은 건전성을 위해 배당을 무한정 확대하기 어렵다. 국제결제은행 자기자본비율(BIS 비율)을 준수해야 하기 때문이다. 바젤Ⅲ기준은 10.5%, 당국이 적정하다고 판단하는 수준은 14%다. 현재 은행들의 건전성 수준은 양호하지만 급작스럽게 닥칠 수 있는 위험해 대비해선 배당보다는 내부 유보금으로 남겨두는 게 좋다는 지적도 나온다.

또 한 가지는 국부유출 문제다. 지난해 외국계 은행인 씨티·SC은행은 거액의 배당을 하기로 해 논란을 빚었다. 이들 은행은 외국인이 지분을 100% 소유하고 있다. 우리·기업은행처럼 정부가 지분을 소유한 은행을 제외한 대다수의 시중은행 역시 외국인 주주비율은 60~70% 수준이다. 이 때문에 은행들이 배당성향을 확대하고 나설 경우 외국인의 배만 불려준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