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전단(삐라) 살포를 주도해온 박상학 자유북한운동연합 대표가 16일 영화 ‘인터뷰’ DVD·USB 살포에 대한 정부의 자제 요청을 받아들일 용의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삐라 살포를 비롯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에 대한 비방 자제 등 ‘체제 인정’ 요구는 북한이 내건 남북대화의 전제 조건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15일 당국자를 박 대표에게 보내 “이산가족 상봉을 꼭 설에 했으면 하니 영화 살포 계획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다만 철회가 아닌 ‘일시 보류’로 공동 살포키로 한 미국 인권단체를 설득해보겠다는 단서를 달았다.
남북대화를 가로막는 조건 하나가 해결될 가능성이 커진 셈이지만, 남북 당국의 지지부진한 태도도 문제여서 자칫 ‘설날 이산가족 상봉’이 무산될지 모른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 브리핑에서 “설을 계기로 이산가족 상봉을 하자는 우리 정부의 제의는 여전히 유효하다”면서도 “별도로 이산가족 상봉 행사 성사를 위한 남북 적십자 차원의 실무접촉은 현재로서는 제의할 것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이산가족 상봉만을 위한 별도의 대화 채널을 가동하자는 아이디어를 일축한 셈이다.
적십자 차원의 실무 대화가 필요하다는 요구는 이산가족 상봉 타이밍 때문에 제기됐다. 상봉 행사를 준비하기 위해선 상봉 대상자 선정, 시설 점검 등에 최소 4~6주의 시간이 필요한데 시간이 촉박하다는 것이다.
답답하게 기존 주장을 되풀이하기는 북한도 마찬가지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논평을 통해 “북남 사이 관계 개선을 바란다면 북침전쟁연습을 전면 중단하는 실천적 행동으로 진정성을 보여줘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에 류길재 통일부 장관은 “북한이 대화 제의를 안 받고 조건 비슷한 얘기만 던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박상학 대표 '인터뷰 삐라 보류' 의사 밝혀...대화에 소극적인 남북 당국
입력 2015-01-16 1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