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성장, 저금리 시대를 맞아 소득 양극화가 확산되는 양상이다. 장기적인 경기 침체로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못한 상황에서 공공요금이 줄줄이 오를 예정이다. 상하수도, 지하철 요금, 버스 요금, 종량제 봉투 등 안 오르는 것을 찾기가 힘들 정도다. 이런 공공요금이 오르면 대부분의 생필품들의 물가가 인상될 것은 뻔한 일이다.
서민경제의 축을 이루는 소상공인의 현실은 더욱 암울하다. 월평균 매출액이 2010년 990만원에서 지난해에는 877만원으로 감소했고, 지난해 월평균 영업이익은 187만원에 그쳤다. 영업이익이 100만원에도 못 미치는 소상공인이 27%나 된다고 하니 이쯤 되면 자영업자를 포함한 소상공인은 이미 생계의 마지노선에 봉착했다는 얘기다.
이런 경제적인 불안 속에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개인의 부채 상황이다. 작년 연말 기준 개인부채액이 사상 최고치를 갱신했고, 제1금융권이 아닌 제2금융권 이상의 대부업체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었다고 한다. 대출이자가 높은 대부업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대부분 신용이 낮고 경제적인 처지가 안 좋은 서민들이 대부분이다.
이런 저신용, 저소득 서민들에겐 높은 금리의 대출상품이 부담일 수 밖에 없고, 수입에 비해 지출만 늘어나는 구조로 전락되어 빚의 악순환을 반복할 가망성이 크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금융 위기 상황을 예측한 정부는 2010년부터 국민행복기금을 조성하여 이를 대비해 왔다. 그러나 홍보 부족으로 인하여 이런 서민구재제도를 알지도 못하는 국민들이 대다수라고 한다.
대표적인 서민구재제도는 햇살론, 새희망홀씨, 바꿔드림론 같은 금융상품들이다. 이 중 저신용자, 저소득자 서민들에게 가장 큰 도움이 되는 햇살론은 정부가 신용보증재단을 통해 대신 보증을 서주고 신협, 농협, 수협,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등의 취급은행을 통해 신용대출을 해주는 정부정책이다.
햇살론 대출자격은 최근 90일동안 30일이상의 연체기록이 없는 자, 최근3개월 동안 월60만원 이상의 소득이 있는 자, 연간 소득이 4000만원 이하인 자이다. 무직자만 아니라면 근로자, 일용직, 사업자 등 제한 없이 모두 신청 자격이 된다.
대출한도는 연20%이상의 금리 상품을 연10%이하의 햇살론 상품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대환대출 목적으로 최대 2000만원까지 신청이 가능하며, 생활고에 시달리고 있는 저소득층 서민들을 대상으로 생계자금 목적으로 최대 1000만원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보다 자세한 문의는 본인의 처지가 모두 다르므로 직접 상담 받길 권장하며, 상담 시 주의할 점은 시행기관마다 자체규정이 상이하여 햇살론 승인률 높은곳으로 문의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최근 정부가 승인한 햇살론 정식위탁법인()에서는 전문 상담 인원을 대거 보충하여 어려운 서민들에게 보탬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하니 서민구재제도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은 꼭 한번 상담을 받아보기 바란다.
햇살론 승인률 높은 곳의 취급은행으로 대출자격 상담 받아야 유리
입력 2015-01-19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