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인천의 한 어린이집 보육교사가 4살짜리를 폭행한 사건을 “세월호 참사 이후 최고의 충격”이라고 언급했다. 김 대표뿐 아니라 당 지도부가 한 목소리로 철저한 진상 파악과 책임 규명을 요구하고 나섰다. 끊이지 않는 어린이집 폭행사건에 대한 특단의 대책을 주문하는 방법으로 국면전환을 시도한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에 이어 김 대표 수첩을 통해 공개된 ‘K·Y 배후설’논란을 덮기 위한 정치적 카드라는 의미다.
김 대표는 1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보육교사가 폭행하는 장면을 TV에서 보고 너무나 큰 충격에 지금까지 심장이 떨리며 진정되지 않고 있다”면서 말문을 열었다. 이어 “과거에도 이 어린이집에서 폭행이나 가혹행위가 있었다는 부모들 제보가 이어지고 있다는데 철저한 진상파악과 책임규명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16일 종로에 있는 국공립어린이집을 방문해 어린이 안전 문제와 저출산 문제를 살펴볼 계획”이라며 “어린이 안전문제를 잘 해결해야 젊은 부모들이 안심하고 아이를 낳을 수 있고 저출산 문제도 풀릴 수 있다”고 했다.
뒤이어 당 지도부의 강도 높은 발언이 이어졌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정말로 충격적”이라며 “이것은 우리 미래에 대해 폭행하는 반인륜적 범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원내대표는 “(어린이집에 대한) 전수조사까지 해야 되는 것 아닌가 한다”며 “작년에 올해 예산을 통과시키면서 보육교사에 대해 5600억원을 증액 조치했는데, 이런 식으로 운영돼선 곤란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문제에 대해 즉시 당정 정책회의를 열겠다”며 “관련 법제를 정비할 것”이라고 약속하기도 했다.
이군현 사무총장도 “여러 차례 반복해서 폭행 장면을 봤는데 저도 손자를 가진 사람으로서 너무나 가슴이 아팠다”면서 관련 정책 및 예산 점검을 주문했다.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의 공개발언은 대부분 이 사건에 집중됐다. 여러 정치적 사안에 대해 당 지도부 인사들이 각자 자유롭게 의견을 내놓던 보통의 경우와 사뭇 다른 풍경이었다. 어린이집 폭행 사건이 국민적 공분을 사고 있는 사건이라는 측면이 크긴 했지만, 이 점을 감안하더라도 여론의 시선을 돌리려는 의도가 깔려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 새누리당 의원은 “이유야 어찌됐든 여당 내에서 연초부터 악재가 튀어나왔기 때문에 어떻게 해서든 빨리 여파를 가라앉혀야 할 것 아니냐”고 말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어린이집 안전 문제로 국면 전환 노리는 새누리당
입력 2015-01-15 16: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