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어린이집 동료 교사 왜 가만있었을까요? 사실은…” 10년차 교사가 말한 현실

입력 2015-01-15 14:18 수정 2015-01-15 14:51

어린이집 교사 10년 경력의 한 네티즌이 ‘인천 어린이집 폭행 사건’을 계기로 어린이집 폭행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안해 큰 공감을 받았다. 보육시설의 CCTV 의무화와 학부모에 영상 상시 공개, 보육시설 학대 관련 기관 신설 등을 제안했다.

아이디 ‘tkfk***’는 엄마들이 많이 모이는 한 커뮤니티에 15일 올린 글에서 CCTV 설치에도 폭력 행위가 반복되는 첫 번째 원인을 “CCTV를 모니터하는 원장이 자리를 많이 비웠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원장이 어린이집에 상주해 있는 곳과 원장이 매일 자리를 비우는 원은 차이가 정말 많이 난다”고 설명했다. 또 “원장이 CCTV를 보더라도 제 식구 감싸기를 할 수 있다”며 “그러나 학부모들에게 모두 볼 수 있게 하면 절대 그런 폭행 사건은 일어 날 수가 없다”고 첨언했다. 그는 전국 보육시설 CCTV 설치 의무화를 전제 조건으로 달았다.

그는 같이 일하던 교사가 폭력 행위를 왜 신고하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에 대해 행정적 절차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저도 현업에 있었을 때 폭력 교사가 있어서 원장님께 말씀드렸으나 교사 구하기가 쉽지 않아서 그런 건지 아무 변화와 조치가 없었다”며 “시청에 신고하려 했지만 제 인적사항을 말해야 해 결국 신고하지 못했다”고 적었다. 같은 교사를 신고한 사람으로 낙인찍혀 그 지역에서 생계유지에 위협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제 인적 사항을 적고 신고하더라도 제일 피해를 보는 건 제가 될게 뻔하다”며 “관할지역에서 불미스런 사고가 나면 제가 흙탕물을 흐리는 미꾸라지 한 마리밖에 되지 않는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그는 또 “실제로 어리이집 교사 중에 좋으신 분들도 정말 많지만 이상한 성격의 교사도 많다”며 “일부 교사들 중엔 폭력을 쓰기도 하고, 이상한 벌을 세우기도 하고, 수업에 참여 못하게도 한다”고 폭로했다.

해당 글에는 교사 출신 네티즌들이 공감 댓글이 줄을 이었다. 한 네티즌은 “어린이집 비리나 학대를 신고하는 내부 고발자가 되는 것이 쉽지 않다”며 “구청에 신고하면 그 도시에 이름이 쫙 돌아 신고한 사람을 재취업을 못한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네티즌은 “웃으면서 아이들에게 말로 상처주는 것은 CCTV에 나오지 않는다”며 “인성을 평가하는 절차도 꼭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신은정 기자 se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