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지난해 불공정거래 줄었으나 수법 복잡·지능화 추세

입력 2015-01-15 13:52

지난해 시세조종 등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적발 건수는 소폭 줄었지만 수법은 점점 복잡해지고 지능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15일 ‘2014년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조사현황’을 발표하고 지난해 신규 접수된 불공정거래 사건이 178건으로 집계돼 전년(186건)보다 8건 감소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또 지난해 195건에 대해 조사를 완료해 135건(69.2%)을 검찰에 고발하거나 통보하고, 35건(18.5%)은 과징금 부과 등 행정조치했다. 검찰로 넘겨진 135건 중에는 시세조종이 49건으로 가장 많았고, 미공개정보이용(36건), 지분보고 위반(27건) 순이었다.

주식시장 침체를 틈타 불공정거래 수법은 진화하고 있다. 수십 개의 증권·은행계좌를 이용하거나 특정기간동안 여러 종목 주가를 동시에 조작하는 경우가 늘었다. 한 투자자문사 주식운용본부장은 고객계좌 수익률이 떨어지자 9개 종목의 주식을 매매하면서 약 50만회(1억3000만주)의 시세조종 주문을 내 200억원의 부당이득을 챙기다 적발됐다. 상장 전 청약으로 유상증자 주식을 확보한 전업투자자가 신규 상장일에 공모가의 2배 가격으로 대량 매수주문을 해 투자자를 끌어모은 뒤 주가가 공모가의 2배로 뛰자 매수주문을 취소하고 주식을 전량 처분해 시세조종한 사례도 처음 적발됐다. 점점 대형화하고 있는 거래 수법 탓에 검찰에 넘겨진 불공정거래 혐의자는 지난해 451명으로 전년(396명)보다 13.9%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투자자들은 시장에 떠도는 루머에 편승하거나 인터넷 사이트 정보를 맹신하지 말고 투자대상 회사의 영업상태와 재무구조, 공시사항 등을 충분히 고려해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