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의 영향으로 산부인과가 10년새 절반으로 줄었다. 시군구 4곳 중 1곳은 아예 없는 곳도 있다.
15일 통계청과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은 지난해 6월 현재 분만이 가능한 종합병원·병원·의원·조산원 등 의료기관은 전국에 약 641곳인 것으로 집계했다.
이는 2004년 분만기관이 1311개에 이르던 것과 비교해 49.9%밖에 되지 않는다. 10년새 반토막이 난 셈이다. 분만기관 수는 2008년(954개)에 1000개 아래로 떨어졌다. 2011년 777개, 2012년 739개, 2013년 699개로 감소 추세다. 전년 대비 감소율은 2011년 3.84%, 2012년 4.89%, 2013년 5.41%, 지난해 8.30%로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전국 232개 시·군·구 중 산부인과가 없거나, 산부인과가 있어도 분만시설이 없어 출산이 어려운 지역은 지난해 6월 기준으로 23.7%인 55곳이나 됐다.
광역지방자치단체별로 보면 분만가능 산부인과가 없는 곳은 전남이 10개 시군구로 가장 많았고 경북·경남(각 9곳), 강원(7곳), 전북·충북(각 6곳), 경기·충남(각 3곳), 부산(2곳) 순이었다.
산부인과 의원의 개업 대비 폐업률은 2013년 223.3%로 외과 등 다른 과목들과 비교해 가장 높았다. 1곳이 문을 열면 2군데 이상이 문을 닫는다.
병역의무 대신 3년간 농어촌 등지에서 공중보건 업무를 하는 공보의 역시 2009년 5287명에서 지난해 6월 3803명으로 28% 감소했다.
병원 관계자는 “병원에도 시장 논리가 있다”며 “산부인과 간판을 걸고도 돈을 벌려고 산모를 받지 않고 피부과 같은 다른 과목 진료를 하는 병·의원도 상당수”라고 지적했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병원에도 시장 논리 있다” 산부인과 10년새 반토막
입력 2015-01-15 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