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8만1000개 도시형 생활주택 긴급 안전점검

입력 2015-01-14 16:01

최근 의정부, 양주 등에서 도시형 생활주택 화재가 잇따라 발생하자 서울시가 도시형 생활주택 8만1000가구에 대해 긴급 안전점검에 착수했다.

서울시는 25개 자치구와 소방서, 건축·방재·안전·가스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도시형 생활주택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실시하고, 제도개선 등 보완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14일 밝혔다.

1차로 12일부터 20일까지 6층 이상의 도시형 생활주택, 상업·준주거·준공업지역 내 도시형 생활주택의 안전 여부를 점검한다. 2차 점검은 5층 이하 도시형 생활주택을 대상으로 21일부터 다음 달 3일까지 진행된다.

점검반은 스프링클러와 방화문 등 소방시설이 제대로 설치·관리되고 있는지 확인할 계획이다. 또 건축물이 건축법령을 준수해 지어졌는지, 피난 통로에 물건을 쌓아뒀는지 여부도 점검한다. 피난과 화재 진압에 필요한 통로 설치, 소방차 진입 장애, 화재보험 가입, 방화구획 존재 등도 확인한다.

시내 23개 소방서도 자체 인력을 활용해 건물 구조, 주변 환경, 진압 작전 여건을 파악할 예정이다.

영등포구도 관내 도시형 생활주택 144곳에 대한 긴급 안전점검에 나섰다. 사용승인을 받은 119곳은 담당직원이 현장을 방문해 아파트 화재안전가이드를 현관 및 승강기 내부에 부착하고 외부 마감을 불연재로 개선토록 독려할 계획이다. 또 소방이나 건축 등 안전과 관련된 위반사항이 적발되면 즉시 시정토록 할 방침이다. 신축중인 25개 건물은 건축위원회 심의 및 건축허가(사용승인)시 건축물 마감재료를 불연재로 하거나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김재중 기자 j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