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운 날씨에 술로 몸을 데우려는 사람들은 저체온증에 주의해야 한다. 술을 마시면 체온이 높아진다고 느끼는 것은 착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술을 마시면 체내에서 알코올이 분해 돼 일시적으로 체온이 올라가지만 피부를 통해 다시 발산되기 때문에 체온은 떨어진다”며 “오히려 체온이 35도 아래로 내려가 저체온증이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1~18일 한랭환자는 137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67명)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저체온증이 116명(84.7%)으로 가장 많았고 그 중 절반은 술을 마셨다.
우리 몸은 시상하부와 체온조절 중추신경계 덕분에 36.5도를 유지한다. 술을 마시면 중추신경계의 기능이 떨어져 저체온증 위험에 쉽게 노출된다.
추위 속 음주 저체온증은 초기 증상만으로 알아차리기 어렵다. 몸의 중심체온이 35도 미만으로 떨어지면 술에 취한 듯한 행동이 나타난다. 짜증을 내고 발음이 부정확해지며 권태감, 피로를 호소하다 잠을 자려고 한다. 날씨가 추운데도 옷을 벗는다거나 몸을 반복적으로 흔드는 이상행동도 보인다.
중심체온이 33도로 내려가면 근육 강직 현상이 나타나고, 32도면 불안이나 초조함과 함께 어지럼증, 현기증을 느낄 수 있다. 심할 경우 몸을 가누지 못하고 의식까지 희미해지면서 혼수상태나 사망에 이르게 된다.
네티즌들은 “술 마시면 더워지는 게 아니었어? 대박” “앞으로 조심해야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서희수 대학생 인턴기자
추위 속 음주 저체온증 주의… ‘체온 높아진다는 것은 착각’
입력 2015-01-14 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