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취업자 5명중 1명이 첫 직장으로 1년 이하 계약직에 취업했다. 2년 계약직인 ‘장그래’보다 처지가 안 좋은 청년은 76만명에 달한다.
14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청년층 부가조사’는 지난해 학교를 졸업하거나 중퇴하고 처음 가진 일자리가 1년 이하 계약직이었던 만 15∼29세 청년을 76만1000명으로 집계했다. 전체 청년 취업자의 19.5%를 차지한다.
2013년의 21.2%보다 소폭 낮아진 수치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치다. 이 비중은 2008년 11.2%였다. 2009년 12.4%, 2010년 16.3%, 2011년 20.2%로 급격히 증가했다. 2011년부터는 4년째 20% 안팎에서 움직이고 있다.
계약기간이 끝나면 그만둬야 하거나, 일시적으로만 일할 수 있는 곳을 첫 직장으로 잡은 청년 비중은 34.8%에 이르렀다. 청년 취업자 3명 중 1명이 고용이 불안정한 곳에서 직장생활을 시작한 셈이다.
근로 여건이 좋지 않을 뿐 아니라 취업도 어렵다. 지난해 청년층 실업률은 9.0%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늘었다. 1999년 이후 최대치다.
첫 일자리가 비정규직이더라도 2년 후 정규직으로 전환되거나, 다음 직장에 정규직으로 채용된다면 다행이다. 하지만 이마저도 기대하기 어렵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13년 비정규직 이동성 국가 비교’ 자료에서 한국은 비정규직이 1년 뒤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비율은 11.1%에 그쳤다. 계속해서 비정규직으로 일하는 비율이 69.4%다. 아예 실업 상태로 떨어지는 비율은 19.5%였다.
금융위기 이후 정규직 일자리가 단기 계약직으로 대체되는 현상이 수치로 드러난 셈이다. 청년층의 불안한 고용 상황은 여전히 나아지지 않고 있다. 그런 와중에 ‘돈은 못 열정이 있으니 열정으로 일하라’는 ‘열정페이’가 논란이 되는 것은 당연해 보인다.
김동우 기자 love@kmib.co.kr
청년 취업자 5명 중 1명 ‘장그래’보다 못해… 청춘이니까 아파야만 한다?
입력 2015-01-14 09: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