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 내부에서 확산되는 김기춘 실장 책임론

입력 2015-01-11 15:47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항명사태로 잠시 사그라졌던 ‘김기춘 책임론’이 다시 불붙고 있다. 특히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의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김 실장 거취 문제가 당청 갈등을 촉발시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 실장의 버팀목이었던 새누리당에서도 책임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김 실장의 설 곳은 점점 좁아지는 형국이다. 특히 비주류를 중심으로 한 새누리당 의원들은 김 실장 사퇴를 더욱 강력하게 요구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병국 의원은 11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이제는 인적쇄신 말고는 답이 없다”면서 “청와대에서조차 항명이 벌어지는 상황에 대해 김 실장은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이어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사건이 터졌을 때도 청와대는 김 실장 사퇴 요구를 묵살했었는데, 이런 민심과 괴리된 결정들이 결국은 항명사태까지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한 수도권 의원은 “청와대가 박근혜 대통령의 신년기자회견을 통해 김기춘 책임론을 잠재울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오산”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친박(친박근혜)계를 중심으로 “김 실장이 유임해야 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결국 박 대통령의 신년기자회견 이후 여론의 향배가 김 실장 거취를 결정지을 최대 변수로 등장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