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국내 654개 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수출업계가 바라본 2015년 무역환경 전망’조사에 따르면, 2015년 수출이 작년에 비해 증가할 것이라고 응답한 업체는 전체 업체의 39.9%를 차지했다.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18.5%였다.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이 대기업에 비해 수출전망이 보다 밝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역상대국 경기는 대체로 작년과 비슷할 것으로 예상됐다. 지역별로는 미국, 중국 및 동남아는 금년도 경기가 작년에 비해 호전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반면 유럽 및 일본은 전년보다 어두울 것으로 내다봤다.
2015년 우리 수출의 기회요인으로는 신제품 출시 및 제품경쟁력 향상(29.6%)을 가장 많이 지적했다. 이어 교역상대국의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증가, FTA 확대에 따른 시장접근성 향상도 각각 28.6% 21.0%로 높게 나타났다. 우리 수출의 위협요인으로는 환율변동성 확대(27.0%)에 대한 우려가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주력 수출품목이 일본기업과 경쟁관계에 있다고 응답한 업체는 34.9%를 차지했다. 일본기업과 경쟁관계에 있다고 응답한 경우, 금년 중 일본기업이 수출가격을 인하할 것으로 예상한 업체는 71.2%를 차지하여 올해 일본기업과의 가격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또 이들 기업 중 일본기업이 수출가격을 인하할 경우 자사 수출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46.7%를 차지하여 엔화약세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우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올 수출증가 기대감 속 엔저로 인한 타격 우려도 높아
입력 2015-01-08 0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