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보수혁신위원회가 내년 국회의원선거 때부터 국민들이 후보를 직접 선출하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 도입을 사실상 확정했다. 그러나 득보다 실이 많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아 전면 도입까진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새누리당 한 관계자는 7일 “보수혁신위를 비롯한 당 내부에서도 오픈프라이머리 전면 도입 시 부작용을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혁신위가 원론적 차원에서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을 확정했지만 구체적인 범위는 국회 정치개혁특위에서 결정할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영·호남지역의 역(逆) 선택 우려를 제기했다. 본선 승리를 위해 상대당의 약체 후보를 예비선거에서 뽑을 수 있다는 것이다.
비용 문제도 있다. 중앙선관위는 최근 새누리당 보수혁신위에 제출한 자료를 통해 “2013년 재·보궐 선거 사전투표율과 2007년 제주 국민경선을 기준으로 완전국민경선제 투표율을 10%로 가정하고, 전국 251개 시·군·구에서 일제히 투·개표가 실시될 경우 총 368억 원의 비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런 탓에 지역색이 옅은 서울과 수도권에서 오픈프라이머리를 우선 실시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
새누리당,오픈프라이머리 도입 사실상 확정...전면 도입까진 산넘어 산
입력 2015-01-07 2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