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비주류가 검찰의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사건 중간수사 발표후 청와대 책임론·인적쇄신론을 공개 표출하고 있다. 반면 친박계는 인적쇄신론 보다는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한 공직사회 기강 다잡기 필요성을 강조해 검찰 수사발표후 정치적 해법을 놓고 온도차를 보였다.
옛 친이(친이명박)계 좌장인 이재오 의원은 7일 최고위원·중진연석회의에서 검찰 중간수사결과를 거론하며 “찌라시 수준의 문건이 청와대에서 유출됐고, 연말에 정국을 혼란스럽게 만들었다”면서 “그러면 그 부분에 대한 최소한의 도의적 책임을 지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청와대가 인사조치를 과감하게 취해야 하고, 그것이 청와대가 국민을 신뢰하는 자세다. 그런 조치가 금명간 있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청와대에서 (김기춘) 비서실장이 책임을 지든지 담당 비서관이 책임을 지든지, 아니면 비선실세로 알려진 사람들이 책임을 지든지 말끔하게 처리가 돼야지”라며 구체적 대상을 거론하기도 했다. 또 “(청와대가) 국민에게 '미안하다. 새해부터 이런 일이 없게 하겠다. 관련됐던 몇몇 사람들은 부득이 쇄신차원에서 인사조치를 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조치를 하는 게 책임정치이고, 적어도 청와대가 여당 입장을 존중해주는 것”이라고 했다.
정병국 의원도 평화방송 라디오에 나와 “이 사건은 청와대 내에서 일어난 사건이고 청와대가 만든 문건이고 이런 문건이 밖으로 유출됐다는 팩트가 있는 게 아니겠나”며 “누군가는 이번 사건에 대해 청와대에서 책임을 지고 인적 쇄신을 해야 되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같은 옛 친이계인 이군현 사무총장은 YTN 라디오에 출연해 이번 사건을 청와대의 시스템 문제가 드러난 것으로 봐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시스템의 문제이긴 하다”고 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친이계 비주류, 청와대 쇄신론 공론화
입력 2015-01-07 1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