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은 이혼은 7월에 결혼은 10월에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의 인구동향 자료에 따르면 2011∼2013년 3년간 발생기준으로 월평균 이혼신고는 7월이 1만40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월(1만200건)과 5월(1만100건) 순이었고 4월(8900건)이 가장 적었다. 지난해에도 관련 통계가 집계된 10월까지 7월의 이혼 건수가 1만40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7월을 제외한 1∼10월의 월 평균 이혼 건수(9500건)보다 10% 가까이 많은 수치다.
법원에 이혼 신청을 하고 실질적으로 이혼하기까지는 평균 2개월 정도가 걸려 사실상 5월쯤 이혼 결심이 많이 이뤄지는 것으로 보인다. 구정 연휴 기간 부부사이에 금이 가기 시작해 봄쯤 이혼 절차에 들어가는 경우도 상당해 결과적으로 7월쯤 이혼을 많이 한다는 분석도 있다.
반면 최근 3년간 평균 혼인 건수는 10월이 3만8300건으로 가장 많았고, 11월이 3만6200건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12월에도 평균 3만3200건을 기록해 주로 4분기에 결혼하는 경향이 많았다. ‘5월의 신부’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흔히 결혼을 많이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5월에는 3만1000쌍이 결혼했다.
결혼정보업체 가연 관계자는 “날씨가 좋은 가을에 결혼을 많이 해왔는데, 최근 들어 비교적 결혼비용이 저렴한 12월과 1월에도 결혼을 하는 경우가 많아져 성수기와 비수기의 구분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세종=이용상 기자 sotong203@kmib.co.kr
이혼 7월에 가장 많다
입력 2015-01-07 0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