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년전 10월에 결혼식을 올린 50대 A씨 부부는 지난해 설날 차례 준비를 하는 과정에서 부부 사이에 금이 가기 시작해 5월에 이혼을 결심하고 절차에 들어갔다. 부부는 법원의 조정 과정을 거쳐 7월에 이혼신고를 했다.
한국 사람들은 10월에 결혼을, 7월에 이혼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통계청의 인구동향 자료에 따르면 2011∼2013년 이혼 건수는 월평균 이혼신고 기준으로 7월이 1만400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10월(1만200건)과 5월(1만100건) 순이었다. 4월이 8900건으로 가장 적었다.
지난해에도 통계가 집계된 10월까지 7월의 이혼 건수가 1만40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는 7월을 제외한 1∼10월의 월 평균 이혼 건수(9500명)보다 10% 가까이 많은 수치다.
법무법인 양재의 김필성 변호사는 “법원에 이혼 신청을 하고 실질적으로 이혼하기까지는 평균 2개월 정도가 걸려 사실상 5월쯤 이혼 결심이 많이 이뤄지는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또 “40∼50대의 경우 주로 자녀를 대학까지 졸업시켜 경제적으로 한숨을 돌린 뒤 이혼 과정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는 게 통설”이라며 “구정 연휴 기간 부부 사이에 금이 가기 시작해 봄께 이혼 절차에 들어가는 경우도 상당해 결과적으로 7월께 이혼을 많이 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반면 결혼 건수는 매년 10월에 가장 많았다.
2011∼2013년의 3년간 월별 평균 혼인 건수로도 10월이 3만8300건으로 가장 많았고, 11월이 3만6200건으로 뒤를 이었다. 이어 12월에도 평균 3만3200쌍이 결혼해 주로 4분기에 결혼하는 경향이 많았다. 흔히 결혼을 많이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5월에는 3만1000쌍이 결혼했다.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는 8월이 1만6300건에 불과해 가장 적었다.
결혼정보업체 가연 관계자는 “날씨가 좋은 가을에 결혼을 많이 해왔는데 최근 들어 비교적 결혼비용이 저렴한 12월과 1월에도 결혼을 하는 경우가 많아져 성수기와 비수기의 구분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고 말했다.
혼인신고 기준으로는 2011∼2013년에 매년 12월이 가장 높았다. 월별 평균으로는 12월에 3만7700건에 달했다. 이어 11월과 1월 순이었다. 이는 결혼식을 올린 뒤 한두 달이 지나고서야 혼인신고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
구정연휴 갈등 시작… 5월 결심… 7월 이혼 부부 많다
입력 2015-01-07 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