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265일 만인 6일 희생자 보상을 골자로 한 특별법에 여야가 합의하면서 사고 피해자와 피해지역에 대한 보상의 길이 열렸다. 하지만 희생자 가족들은 늦게나마 특별법 합의가 이뤄진 것을 다행스럽게 생각하면서도, 배·보상 실행 여부를 지켜봐야 한다는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다.
유경근 가족대책위원회 대변인은 “자세한 것은 법안 내용을 살펴봐야 알겠지만, 문제는 실행”이라며 “진도지역 주민들도 이번 참사로 굉장히 많은 피해를 입었는데 이들에 대해서도 제대로 조사해 지원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생존학생 특례입학도 가족들이 모두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며 “정원 외로 입학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 친구들과 잘 어울리지 못할까봐 걱정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더욱 급한 것은 선체를 어떻게 인양할 것인지, 아이들이 겪고 있는 트라우마를 어떻게 해소시킬 것인지 문제다”고 강조했다.
김성실 가족대책위 부위원장도 “우리가 더 관심있는 것은 정부가 왜 아직도 선체 인양에 대한 확실한 답을 주지 않는다”며 “선체가 인양돼야 진상이 규명된다. 오늘 특별법이 타결됐다지만 순서가 뒤바뀌었다는 생각이 든다”고 꼬집었다.
장동원 생존학생 학부모 대표는 “희생자 부모에게 상처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대학특례지원을 요구한 적이 없는데 이런 결과가 나와 당혹스럽다”며 난처해했다.
한편 단원고 측은 학년별 학부모들의 견해차가 있는 만큼 배·보상 특별법안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안산=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안산=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
세월호 특별법 합의 배·보상 길 열렸지만 유가족들 "지켜봐야"
입력 2015-01-06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