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공개된 가장 유용한 공공정보는 ‘법 위반 어린이집 명단’

입력 2015-01-06 15:50

지난해 정부가 공개한 공공정보 가운데 가장 유용한 정보로는 ‘법 위반 어린이집 명단’이 선정됐다.

행정자치부는 지난해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등 각종 행정기관이 공개한 정보 중에서 ‘국민에게 유용한 정보’ 10종을 온라인 투표와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통해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가장 많은 지지를 받은 정보는 보건복지부의 ‘법 위반 어린이집 명단’이었다. 복지부는 보조금 부정수급, 아동 학대, 운영·급식기준 위반 등으로 행정처분을 받은 어린이집의 명칭과 대표자 성명, 원장·보육교사 명단, 위반행위, 처분내용 등을 공개했다. 이 정보는 부모들이 어린이집을 선택할 때 주요 참고자료가 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2위는 국토교통부가 공개한 ‘공동주택 관리비 내역’이다. 아파트 관리비 공개 항목을 기존 27개에서 47개로 세분화해 공동주택관리시스템(www.K-apt.go.kr)을 통해 공개함으로써 아파트의 관리비를 비교해 볼 수 있도록 했다. 의약품 오·남용에 도움이 되는 보건복지부의 ‘의약품부작용 정보’가 3위로 뽑혔고 농림축산식품부의 ‘친환경 농산물 가격정보’가 4위에 선정됐다. 경남도의 ‘도내 방사능 안전정보’, 서울 양천구의 ‘생애주기별 맞춤형 정보’, 농축산부의 ‘로컬 푸드 직매장 현황’, 특허청의 ‘상표 정품·가품 비교사례’, 대구시의 ‘공동주택 특별감사 결과’, 국세청의 ‘창업정보, 국세통계로부터 얻는다’ 등이 5~10위를 차지했다.

심덕섭 행자부 창종부조직실장은 “국민 수요조사와 빅데이터(대용량 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국민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발굴해 제공하고 정보공개포털의 검색기능도 개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