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 진출한 일본 기업 중 약 76%가 지난해 흑자를 예상했고 절반 이상이 사업을 확대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카났다.
6일 코트라에 따르면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가 작년 말 아시아·오세아니아 지역에 진출한 일본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국에 진출한 231개사 중 52.8%가 “1∼2년 내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현상 유지”라는 응답은 42.9%, “축소”는 3.0%, “제3국 이전”이라는 응답은 1.3%로 조사됐다.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2013년 조사 때보다 7.6%포인트 떨어졌고 대신 현상 유지 응답 비율이 5.6%포인트 상승했다.
사업 확대 이유(복수응답)에 대해 매출 증가(88.3%), 높은 성장 잠재력(38.3%), 고부가가치 제품에 대한 높은 수용성(33.3%), 거래처와의 관계(20.8%) 등이 꼽혔다. 확대 분야는 판매 기능(70.8%),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38.3%), 연구개발(R&D, 20.8%) 등이 거론됐다. 특히 연구개발이라는 응답은 조사대상 국가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2014년 영업이익 전망에 대해서는 응답업체의 76.2%가 흑자를 기록할 것이라고 답했고 적자라는 응답은 11.7%에 그쳤다. 전체 조사대상 19개국 중 흑자를 전망한 응답 비중은 파키스탄과 대만에 이어 한국이 3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올해 영업이익 전망에 대해서는 40.6%만이 2014년보다 개선될 것이라고 답해 전망은 그리 밝지 않았다.
경영상의 문제점에 대한 질문(복수응답)에는 종업원 임금상승이라는 응답이 67.4%로 가장 많았고 경쟁상대 대두(56.8%), 주요 거래처의 가격 인하 요청(48.9%), 현지 통화대비 엔 환율 변동(47.8%), 신규고객 개척의 어려움(43.2%) 등의 대답이 이어졌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국내진출 일본기업 절반이상 올해 사업 확대 의향 있어
입력 2015-01-06 09: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