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송파구 석촌지하차도 밑에서 대형 동공이 발견된 이후 서울시의 조사에서 모두 41개의 동공이 탐지됐다. 이 중 위험도가 A급인 동공이 18개로 파악됐다.
서울시는 지난 11월 30일부터 이달 4일까지 일본 동공탐사 용역업체인 지오서치와 함께 종로3가역, 여의도역, 교대역, 석촌지하차도 등 지역을 조사한 결과 41개의 동공이 탐지됐다고 31일 밝혔다.
종로3가역 일대 14.2㎞ 구간에서 18개, 여의도역 일대 10.1㎞ 구간에서 5개, 교대역 일대 32㎞ 구간에서 18개의 동공이 발견됐다. 석촌지하차도(5km 구간)에서는 추가로 동공이 발견되지 않았다.
시 관계자는 “이번에 탐지된 동공은 주로 오래된 지하철노선이 통과하는 도심지에 다수 분포했다”며 “기존에 동공의 주원인으로 알려진 노후 하수관 외에 지하철 복구공사로 인한 장기침하도 동공 발생의 주요한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시는 보수 또는 관리를 위해 동공의 위험 등급을 A등급(동공 상부지지층 두께가 0.3m 이내), B등급(동공 상부지지층 두께가 0.3m 이상이고 동공 최소폭이 0.5m 이상), C등급(A급 및 B급을 제외한 동공)으로 구분했다. 동공 41개 중 A등급에 해당하는 동공은 18개, B등급 11개, C등급 12개였다.
시는 A등급 18곳은 영상의 기온이 회복되는 대로 조속히 굴착해 원인을 조사하고 보수할 계획이다.
아울러 2015년부터는 동공 발생이 우려되는 오래된 지하철노선, 50년 이상 노후 하수관 매설구간, 지질적인 취약구간 등이 혼재한 도심지 주요도로 약 1500㎞에 대하여 매년 500㎞씩 3년 주기로 정기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
서울 도심 4곳서 A급 위험 동공 18개… 모두 41개 탐지
입력 2014-12-31 1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