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달리트 기독교인 ‘신앙과 혜택’ 갈림길에서 고통

입력 2014-12-31 12:10
인도 모래예술가 수다르산 파트나익이 성탄절을 앞두고 24일 인도 푸리의 해변에 각국 정상의 얼굴을 만들고 세계 평화를 호소하고 있다. ⓒAFP BBNews=News1

인도 달리트 기독교인들이 ‘신앙’과 ‘혜택’의 갈림길에 놓여있다.

달리트는 인도 카스트제도의 최하위층을 뜻한다. 기독교로 개종한 달리트는 2500만명으로 추정된다.

크리스천포스트는 최근 국제기독연대(International Christian Concern·ICC)의 발표를 인용, “인도 전역에 걸쳐 기독교로 개종한 달리트가 ‘신앙을 유지하든지, 달리트에게 제공되는 정부의 혜택을 받든지’ 양자택일의 기로에 놓이게 됐다”고 보도했다.

인도 헌법은 달리트제도를 효과적으로 소멸시키기 위해 정부에서 고용하는 공무원과 교사들 가운데 일정수를 달리트들에게 할당하는 ‘지정 카스트 제도’를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인인 달리트는 이 혜택에서 제외되고 있다.

ICC는 “수백만 명의 달리트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구주로 따르는 것을 선택하든지, 가난의 탈출구인 정부 지원을 선택하든지 해야 한다”며 “이같은 차별은 인도의 종교적 지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침례교회 소속 마드후 찬드라 싱(Madhu Chandra Singh) 장로는 “인도 대법원은 이런 상황을 부인하지만, 달리트 출신의 기독교인들은 개종 전이나 후나 고통받고 있다”고 전했다. 그는 “달리트 기독교인들은 개종 후 종교 박해로 고통 받을 뿐 아니라 1950년 만들어진 ‘지정 카스트제도’로 생긴 혜택도 받지 못하게 된다”며 “지정 카스트제도는 달리트 기독교인들에 대한 이중차별”이라고 말했다.

기독교 인권활동가인 프랭클린 카이사르(Franklin Caesar)는 “지정 카스트제도는 기독교인과 무슬림 달리트의 기본권을 침해해 왔다”며 “수백만 명의 달리트들이 스스로를 기독교인이라고 생각하지만 정부 혜택에서 제외되는 것을 두려워해 이를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전재우 선임기자 jwj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