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위사업청은 ‘납품비리’ 논란이 제기된 차기수상함구조함(ATS-Ⅱ) 통영함(3500t·사진)을 30일 해군에 인도한다.
군 관계자는 “지난달 28일 합동참모회의에서 통영함 조기 전력화를 결정한 이후 작전운용 성능을 평가한 결과, 전력화 시기를 연기한 선체고정음파탐지기(HMS)와 수중무인탐사기(ROV)를 제외하고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그는 “통영함은 최고 21노트(39㎞/h)의 속력을 내는 기동 성능을 비롯해 좌초된 함정을 끌어내는 이초'와 인양, 예인, 잠수지원 등 수상구조함의 주요한 작업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해군은 함정 인도 후 함정 성능확인 및 작전능력 평가, 전투력 종합훈련 등의 절차를 거쳐 내년 4∼5월쯤 통영함을 실전에 배치할 예정이다.
방사청과 군은 통영함의 HMS로 상용 어군탐지기를 납품한 업체와의 계약을 해지하고 새로운 제품을 구매하기로 했다. 입찰 공고에 이어 계약자 선정→계약→제작→장착→시험→정상 가동까지 2년가량이 소요될 예정이다. 작전요구 성능을 충족하는 HMS가 장착될 때까지 통영함은 소해함의 도움을 받아야 구조작업을 할 수 있다. ROV는 초음파 카메라만 작전요구 성능을 충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1년 이내에 성능을 보완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 성능이 떨어진 장비를 완전히 개선하지 않은 채 해군에 통영함을 인도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비판이 제기됐었다. 하지만 군 당국은 기존 수상함구조함인 광양함이 노후화돼 대체 전력 확보가 시급하다는 이유로 통영함의 조기 전력화를 강행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납품비리로 일부 성능 미달 ‘통영함’ 30일 해군에 인도
입력 2014-12-30 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