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해산된 통합진보당 당원들에 대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 수사에 본격 착수했다. ‘종북콘서트’ 논란과 관련해 황선(40·여) 희망정치연구포럼 대표도 소환했다. 지난 22일 국보법 위반 혐의로 진보 성향 단체를 압수수색한 데 이어 공안수사에 한층 속도를 내고 있는 모습이다.
경찰청은 보수단체들이 지난 19일 통진당원들을 국보법 위반 혐의로 고발한 사건과 관련해 서울지방경찰청 보안수사대 1대장을 팀장으로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고 29일 밝혔다. 경찰 관계자는 “고발인 조사를 마치는 대로 헌재 판결문을 분석해 수사 대상자를 선정할 방침”이라며 “국회의원과 핵심 당직자 등이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통진당해산국민운동본부, 활빈단, 엄마부대 등 보수단체는 통진당 해산이 결정된 직후 이정희 전 대표와 당원들을 서울중앙지검에 고발했다. 검찰은 헌재가 ‘북한식 사회주의 실현’을 통진당의 최종 목적으로 판단한 만큼 이적단체 적용이 가능하다고 보고 경찰에 사건을 이첩했다.
서울경찰청 보안수사대는 또 종북콘서트 논란으로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를 받고 있는 황 대표를 이날 소환조사했다. 보수단체들은 지난달 22일 재미동포 신은미(53·여)씨와 황씨가 ‘신은미&황선 전국 순회 토크 문화콘서트’에서 북한을 인권·복지국가로 묘사했다며 대검에 고발했다. 경찰은 2011년부터 최근까지 인터넷방송인 ‘주권방송’을 통해 북한체제를 찬양·고무한 혐의로 황씨를 내사해왔다.
황씨는 조사에 앞서 서울경찰청 1층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거짓 선동으로 사제폭탄 테러가 발생하고 인명 피해까지 발생했음에도 경찰은 피해자 가택을 압수수색하는 등 공안탄압 대상으로 삼았다”며 비판했다. 사제폭탄 테러는 지난 10일 ‘콘서트’가 열린 전북 익산의 한 성당에서 고교 3학년생이 인화물질이 든 폭발물을 던진 사건을 말한다.
경찰은 황씨와 함께 고발된 신씨의 출국정지를 다음달 9일까지 연장하고 추가 소환을 검토하고 있다. 이르면 다음달 초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할 예정이다. 검찰은 신씨를 강제 출국시키는 방안도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전수민 기자 suminism@kmib.co.kr
경찰, 통진당원 고발사건 수사 착수…‘종북토크쇼’ 논란 황선 대표도 소환
입력 2014-12-29 1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