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9일 통일부가 아닌 통일준비위원회(통준위) 이름으로 내년 1월 중 남북 당국간 회담을 개최하자고 제안해 주목된다. 지난 7월 발족한 통준위는 ‘통일 한반도의 청사진을 만든다’는 목표 아래 통일 공감대 확산과 연구 과제 선정, 부처간 협업 지원 등 주로 국내 내부의 통일 준비를 위해 활동해 온 기구다. 기구 성격을 봐도 수십년간 통일부가 전담해 온 남북회담의 기능을 대행하기에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더구나 민간 전문가들이 폭넓게 활동하는 민관합동기구인 통준위가 남북 당국간 회담이라는 특수한 영역에 나서는 것 자체가 다소 이례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정부는 통준위가 광복 70주년을 맞아 준비하는 여러 사업을 계획하고 있고, 이를 실행하기에 앞서 북측과 먼저 협의할 필요성을 느꼈다는 이유로 통준위를 회담 제안 주최로 내세웠다.
정종욱 통준위 민간 부위원장은 “통일 준비라는 것은 남북이 서로 머리를 맞대고 협의를 해야 되겠다는 필요성을 대단히 절실하게 느꼈다”며 “정부 정책으로 우리 구상을 구체화하기 전에 북측 대표들을 만나서 우리 입장을 설명해주고 그동안 준비해온 여러 과제를 부연 설명을 하면서 북측의 호응을 얻어야 되겠다는 필요성을 느껴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
통일부 아닌 통준위 이름으로 남북 회담…“북측의 호응 얻을 필요성”
입력 2014-12-29 1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