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 국내 환자치료, 검증된 치료 안 따랐다간 ‘낭패’

입력 2014-12-26 16:38
수면질환 있다고 무조건 수술은 절대 금물

수면무호흡증은 돌연사, 수면중 심장마비, 부정맥, 급사 위험성이 산소 포화도가 가장 떨어지는 새벽 3~5시경에 가장 많이 발생되며 뇌졸중 까지 발생을 시키는 무서운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대한민국에서는 정확한 치료 가이드라인을 학회나 보건복지부에서 제시 하고 있지 않다.

국내 수면무호흡증 환자 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의하면 2008년 22만 8000명에서 2012년 35만 7000명으로 5년사이 약 13만명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문제는 수십만원에서 천여만원에 이르기까지 하는 각종 수술 및 치료 방법이 난립을 하고 있고 그에 따라 국민들만 혼란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최근 미국 학회에서 제시한 수면 무호흡증 가이드 라인을 바탕으로 정리해보면 일단 수술적 치료는 빠져 있다.

그 이유는 첫째 코골이와는 달리 수면무호흡의 원인은 너무 다양하기 때문이다. 뇌기능, 숨골 기능, 폐기능, 횡경막 기능, 비만, 얼굴 골격등 많고 다양한 원인이 수면무호흡의 원인 이기 때문에 단순히 칼로 자르고 붙이는 수술적 효과가 적기 때문이다. 둘째 수면무호흡증의 수술적 치료의 장기적 효과(7년 이상)에 대한 논문이나 연구가 아직 없기 때문이다.

사실,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의 가장 큰 원인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비만이다. 대부분의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의 구조를 보면 목이 짧고, 목 주변에 살이 찐 경우가 많고 실제 내부조직도 비대해져 공기의 흐름 통로인 기도가 좁아져 있으며 비만에 따른 폐기능도 저하가 오기 때문이다.

수면장애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체중감량을 통해 기도의 공간을 확보 하는게 가장 첫번째로 시행되어야 할 방법이지만, 무호흡과 저산소증이 같이 있는 경우에는 체지방 대사 분해 기능도 떨어지므로 무호흡 치료와 더불어 살을 빼는게 효과적인 방법이다.

다른 방법은 양압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영어 약자로 CPAP(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로 지속적으로 일정한 압력의 바람을?넣어주는 방법으로 기도의 공간이 좁아지거나 협착되어도 기계에 의해 발생된 바람을?막힌 부분을 뚫어줄 압력으로 넣어주는 원리이다.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은 “수면장애를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무리한 외과적인 수술보다 양압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구강내에 강제적으로 바람을 밀어 넣기 때문에 거의 100%에 가까운 상당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반면 얼굴에 마스크를 착용하기 때문에 거부감이 있을수 있고 1-2주간의 적응 기간이 필요해 불편함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7년 장기 사용시 수면무호흡 환자들이 가지고 있는 심혈관 위험도가 정상인과 동일하게 떨어진다는 사실이 입증된 유일한 치료기라는 것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면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구강삽입형 장치이다. 이 장치의 이름은 다양한데, 구강내장치(oral appliance), 하악전진장치(MAD), 기도확장장치, 코골이 장치 등 여러가지 이름으로 불리고 있다.

구강내장치의 종류는 하악전방위 장치, 혀 유지장치, 연구개 거상장치 등 여러 종류가 있으나, 현재 가장 널리 쓰이며 병원에서 사용되는 장치는 하악전방위 장치이다. 주로 경미한 무호흡 환자에게 사용되며 아직 심혈관 장애 예방이나 위험도를 떨어뜨린다는 연구는 없다.

한진규 원장은 “코골이나 수면무호흡등의 수면질환은 그 원인을 찾아 의학적으로 검증된 방법으로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치료효과가 떨어지거나 환자에게 매우 위험한 치료방법들이 성행하고 있어 이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필요성이 있다”며 “꼭 필요하지 않음에도 혀를 절단하는 등의 극단적인 방법보다는 치료효과와 안정성이 검증된 미국내과학회 등에서 권고하는 수면질환 치료 가이드를 우선적으로 따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수면무호흡증 치료 가이드 라인

1. 과체중 또는 비만으로 인해 수면무호흡증으로 진단될 환자에게는 체중감량이 우선이다.
2. 무호흡증의 초기 치료법으로 양압호흡기를 추천한다.
3. 개인적인 선택이나 양압호흡기에 적응하지 못하면 구강삽입형장치(MAD/구강내장치)가 대안이다.

*출처=미국내과학회(http://www.acponline.org/pressroom/sleep_apnea.htm?hp)

송병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