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당청불통 누적에 불만 폭발

입력 2014-12-26 16:36

새누리당 내에서 청와대와 정부를 향한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소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정부 주요정책을 여당이 반대하고 나서는 일까지 벌어진다. 당정청간 갈등이 표면화되는 모양새다.

대표적 사례는 정부가 군인·사학 연금 개혁을 추진한다고 밝힌 지 하루 만에 여당 반발로 백지화한 것이다. 김무성 대표는 지난 23일 한 토론회에 참석해 “우리와 상의도 없이 정부가 마음대로 발표를 했다”고 불쾌감을 드러냈다. 정부가 박근혜 대통령에게 군인·사학 연금 개혁 등을 담은 내년도 경제정책 방향을 보고한 바로 다음날이었다. 김 대표는 “공무원연금 (개혁)이 될지 안 될지도 모르고 얼마나 힘들게 우리가 이 불씨를 꺼지지 않게 하려고 노심초사하고 있는데…”라면서 “이 정부의 무능”이라고 작심발언을 하기도 했다.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과 관련한 국회 운영위원회를 언제 열지를 놓고도 엇박자를 드러냈다. 새누리당에선 올해 안에 운영위를 열고 이 문제를 매듭짓기를 바라는 기류였지만, 청와대가 난색을 표하는 바람에 내년 1월 9일로 밀렸다는 것이다. 당 핵심 관계자는 “검찰 수사결과를 지켜보자는 의견도 있지만 가능하면 올해 안에 빨리 털어내야 할 문제”라고 했다.

김 대표는 최근 청와대 정무수석실에서 보낸 신년인사회 참석자 명단을 받아본 뒤 “천지분간을 못하는 사람들”이라며 강한 불쾌감을 표하기도 했다. 공문에는 여야 대표와 원내대표, 정책위의장, 원내수석부대표만 들어 있고 이군현 사무총장과 김학용 대표비서실장 등이 빠져 있었다. 관례적으로 참석하던 인사들이 누락됐다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이들은 김 대표 측근이자 비주류 친이(친이명박)계 출신이었다. 청와대 관계자는 26일 “실무 과정에서 빚어진 일”이라며 “완성되지 않은 명단이 건너갔고 정식 초청명단에는 이 총장이 포함돼 있다”고 해명했다.

이런 갈등은 단순한 ‘감정싸움’은 아니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정부가 공무원연금 개혁, 담뱃값 인상, 쌀 시장 전면 개방, 공기업 개혁 등 휘발성 강한 사안들을 충분한 의견조율 없이 당에 떠넘긴 데 대한 불만이 누적된 결과라는 해석이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