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우리 측의 남북관계 개선 의지와 고위급 접촉 재개 요구에 “이해한다” “같은 생각”이라고 화답한 것으로 25일 전해졌다. 박근혜정부의 대북 정책기조에 대한 포괄적 공감을 처음 표시한 것으로, 새해 양측 관계 개선의 ‘신호탄’이 올려진 게 아니냐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벌써부터 내년 초쯤 우리 측의 ‘이산가족 상봉 및 서신교환’, 북측의 ‘5·24조치 해제’ 요구가 빅딜을 통해 맞교환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다만 금강산관광 재개는 현금 지원에 대한 부정적 국내 여론 탓에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김성재 전 문화부 장관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지난 24일 개성공단에 만난 김양건 북한 노동당 통일전선부장 겸 대남비서와의 대화 내용을 공개했다.
김 전 장관은 박근혜 대통령이 2002년 평양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합의한 내용을 화제로 꺼냈다고 했다. 김 전 장관이 남북관계를 개선하려는 현 정부의 ‘진정성’을 언급하며 “평화통일을 위해 노력하자고 선대가 합의한 진정성을 이해해야 할 것”이라고 하자, 김 부장은 “(그 과정을) 잘 이해한다”고 답했다. 이어 김 전 장관이 “2차 남북 고위급 접촉이 대북전단 문제로 무산됐는데, 남한에서 애기봉 트리 점등식이 주민 반대로 무산되는 등 상황이 바뀌었으니 다시 대화 계기를 만들자”고 하자, “나도 같은 생각”이라고 말했다는 것이다.
양측 정부 고위 당국자들의 언급도 상당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김 부장은 “금강산관광, 5·24 조치, 이산가족 상봉 등의 소로(小路)를 통해 대통로로 나아가자”고 말했다고 한다. 우리 정부 고위 관계자도 지난 5일 제주도 기자간담회에서 “남북대화가 이뤄지면 남북이 서로 원하는 사안을 모두 협의하게 될 것”이라며 앞의 세 가지 문제를 모두 의제로 삼을 수 있음을 시사한 바 있다.
내년에 ‘6·15 공동선언 15주년’ 등 남북 공동의 이벤트가 펼쳐지는 ‘타이밍’도 호재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광복 70주년을 맞아 남북관계가 잘 풀리면 박근혜 대통령이나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나 ‘통일 리더’라는 이미지를 갖게 된다”고 말했다. 남북 정상 모두에게 남북관계 개선이 매력적인 ‘통치수단’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남북관계에 워낙 돌발 변수가 많아 실질적인 관계 개선으로 이어지려면 ‘통 큰 양보’가 절실하다는 지적도 있다. 남한에서 전단 살포가 재개될 수 있고, 북한도 북한인권법 국회 처리 기류를 걸고넘어질 수 있다. 통일부 관계자는 “북측이 관계 개선 의지가 있다면 당국간 회담에 응해야 한다”고 했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
[이슈분석]남북관계 개선 신호탄 올랐나...북,박근혜정부 진정성 공감
입력 2014-12-25 16: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