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영어영역에 현재의 상대평가 대신 절대평가가 도입된다.
교육부는 현재 중학교 3학년이 대학입시를 치르는 수능부터 영어영역에 절대평가를 도입하기로 확정했다고 25일 발표했다.
절대평가가 도입되면 수능 영어성적은 표준점수, 백분위가 제공되지 않고, 등급만 제공된다.
교육부는 절대평가 영어영역의 등급 개수로 9등급 또는 4∼5등급으로 하는 방식 중 선택할 방침이다. 9등급제는 2017학년도 수능의 필수 과목인 한국사에 먼저 적용된다.
등급분할 방식은 사전에 설정된 점수를 기준으로 등급을 구분하는 고정분할방식과 시험 실시 후 전문가들의 분석에 따라 분할점수가 달라지는 준거설정방식을 놓고 저울질 하고 있다. 9등급제는 고정분할방식과 연계되고, 4∼5등급 체제에는 준거설정방식이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예컨대 9등급제로 하면 90점 이상만 기록하면 항상 1등급을 받지만 4∼5등급제로 하면 매년 등급을 가르는 분할점수가 변할 수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고정분할방식은 국민이 이해하기 쉽고 예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면서도 “전문가들은 준거설정방식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교육부는 수능 영어영역의 절대평가 적용 시 문항 수와 배점, 시간 등도 추후 확정할 계획이다.
한국사에 이어 영어의 절대평가 도입이 확정되면서 수능 자체가 장기적으로 자격고사로 바뀔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교육부는 내년 3월 수능 개선안이 발표되고 나서 수학영역의 절대평가 도입도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김태희 선임기자 thkim@kmib.co.kr
2018학년도 수능부터 영어 절대평가…등급만 나온다
입력 2014-12-25 13:29